이랑 국토교통부 미래드론교통담당관(과장급)은 지난주 기자와 만나 이같이 말했다. 국토부는 드론 택배·택시로 대표되는 교통혁신의 이슈인 드론교통을 추진하기 위한 전담조직으로 미래드론교통담당관을 신설했다. 이 중책을 맡은 게 바로 이 과장이다. 이 과장은 행정고시 51회로 얼마 전 서기관으로 승진했다. 그만큼 부처에서 업무 능력을 인정받는 에이스다.
드론은 애초 군수용에서 취미·레저용, 산업용을 거쳐 여객·화물 수송 등 에어모빌리티로 시장이 급변하고 있다. 세계 산업용 드론 시장 규모는 올해 66억5000만 달러다. 2026년엔 670억2000만 달러로 10배 이상 성장할 전망이다. 현재 국내에선 드론 분야에서 민간 차원의 사업진출·기술개발이 초기 단계로 선진국에 비해 많이 뒤떨어져 있다. 미국의 교통플랫폼 사업자인 우버는 드론 택시(우버 에어)를 2020년 테스트를 거쳐 2023년 시범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이 과장은 “우리나라가 드론 생산기술은 떨어지지만 드론운용체제에선 선도자(First Mover)가 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이 과장에 따르면 유인 드론을 띄우려면 안전해야 한다. 뭐가 안전하고 어떤 기준을 통과해야 안전한지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하늘길을 터줘야 한다는 얘기다. 항공기로 치면 관제업무다. 또 운영사업자는 어떤 요건을 갖추고 있고 보험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등이 필요하지만 현재는 아무것도 준비된 게 없다. 그는 “기체가 아무리 개발돼도 이런 시스템이 준비가 안 돼 있으면 다닐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우버가 2023년 상용화 전에 시범서비스를 하겠다고 했는데 자체 사업계획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국제적으로도 유인 드론은 물론 무인 드론에 대해서도 아직 정해진 것이 별로 없는 상태다. 미국도 올 연말은 돼야 한 주에서 비행을 승인한다.
이 과장은 “산업통상자원부와 함께 2023년까지 드론택시 기체(유무인 겸용 분산추진 수직이착륙 1인승급 비행시제기) 연구개발(R&D)과 미래형 자율비행 개인항공기 인증 및 안전운항기술을 개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래드론교통담당관은 2년 한시로 운영하는 벤처형 조직이다. 행정안전부가 정부혁신계획의 일환으로 벤처조직 수요조사와 심사를 통해 선정한 부처별 10개 벤처형 조직 중 하나다. 그는 2년 뒤에 성과가 좋으면 조직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현재 미래드론교통담당관실에는 3명의 정예멤버가 있다. 이 과장과 서정석 사무관, 박유준 주무관이다. 서 사무관은 기존에 있던 첨단항공과에서 드론 업무를 담당했으며 미래드론교통담당관 신설의 산파역을 맡았다. 박 주무관은 드론 공부를 위해 미국에 2년 연수를 다녀왔다. 그래도 부족한 것은 조만간 산·학·연·관이 참여하는 협의체 발족·운용을 통해 해소한다. 이 과장은 “미국과 중국이 드론 분야에서 앞서 있다”며 “사실 지금부터 공부를 많이 해야 한다”고 각오를 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