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는 13일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출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인철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관리 현황과 처리 계획 등과 관련해 일본에 보다 구체적인 입장표명과 정보 공개 등을 요청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정부는 2018년 8월 일본의 오염수 해양방출 계획에 대한 정보를 최초로 입수한 직후, 2018년 10월 일본 측에 우리의 우려와 요청 사항을 담은 입장서를 전달하고, 양자 및 다자적 관점에서 관련 논의를 진행해 나가자고 제안한 바 있다”면서 “이에 따라 정부는 북서 태평양 보전실천계획 정부 간 회의, 국제원자력규제자회의 등 관련 다자회의와 한일 간 국장급 협의, 해양환경정책회의, 환경 공동위 등 여러 양자 회의 등 계기에 일본 측에 우리의 우려를 지속해서 표명하고 관련 설명을 요구해 왔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와 관련해 일본 측은 후쿠시마 오염수 관련 최종 처리방안과 시기는 아직 검토 중이며, 현황 및 향후 처리계획 등에 대해서는 향후 국제사회에 성실히 설명하겠다는 기본 입장만을 알려오고 있다고 전했다는 게 김 대변인의 설명이다.
그는 “향후 필요시 국제기구 및 피해가 우려되는 태평양 연안 국가들과도 긴밀히 협력하여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출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가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NHK와 교도통신 등 일본 언론들은 도쿄전력을 인용, 지난 2011년 폭발 사고 후 후쿠시마 제1 원전에서 보관하고 있는 오염수가 하루에 170t씩 늘어나고 있으며 2022년 여름께 저장용량이 한계에 다다를 것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일본 정부는 오염수를 바다로 배출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지만, 후쿠시마 현 주민들과 한국 등 주변국들의 반발이 거센 상황이다.
이와 관련, 정부는 오는 9월 국제원자력기구(IAEA) 총회와 11월 중국에서 열리는 한·중·일 원자력 고위 규제자 회의 등에서 관련해 문제를 제기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다만, 아직 한국을 제외하고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출 문제에 대해 공개적으로 목소리를 내는 국가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