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중국의 첨단산업 발전 현황 및 주요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신에너지자동차 등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는 2009년 전략적 신흥산업을 선정한 이후, 2015년 ‘중국제조 2025’ 전략을 통해 첨단산업 육성을 구체화한데다, 특히 시진핑 집권 이후 첨단기술 기반의 고부가가치 제조업 육성에 노력한 결과다.
실제 중국 AI산업규모는 현재 330억위안(50억달러) 수준이며, 관련 기업수도 1040개로 전세계의 20.8%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미국(40.8%) 다음으로 높은 수준이다.
빅데이터산업 시장규모도 2018년 기준 4385억위안(660억달러)을 기록해, 육성정책이 공식 발표된 2015년에 비해 1.5배 가량 성장했다. 전기차 판매량도 2014년부터 2018년중 연평균 50% 이상 증가했다. 2018년 기준 판매량은 125만대로 글로벌 전기차시장의 절반에 가까운 47.6%를 점유하고 있다.
다만 첨단산업 육성과정에서 수반되는 고용여건 변화와 기술선도국과의 마찰, 일부산업의 비효율성 제거는 풀어야할 과제로 봤다.
김대운 한은 동향분석팀 과장은 “중국의 첨단산업 육성 노력은 저성장, 저소득, 고위험 등 뉴노멀시대를 적절히 대응하기 위한 최적의 경제성장 패러다임으로 해석이 가능하다”며 “다만 이같은 구조변혁은 고용여건 변화와 선진국과의 잦은 대립 등을 야기할 가능성도 잠재한다. 아울러 대내적으로는 내수 중심의 성장구조 가속화, 대외적으로는 글로벌 교역구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주요 교역국인 미국, 아세안, 한국 등에 미치는 영향이 특히 클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중간재 등 대중 수출의존도가 높다”며 “국내 첨단산업 육성 역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나름의 일정과 육성전략을 마련해 놓고 있는 것으로 안다. 잘 이행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