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이 7년 전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2~3년간 서울 아파트값이 크게 올랐지만 전셋값은 안정세를 유지했기 때문이다.
전세가율 하락이 실수요자의 매매 전환 감소와 투자수요의 시장 유입 방해 요소로 작용할 수도 있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31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이달 말 기준 서울 아파트의 평균 전세가율은 53.60%로, 7년 전인 2012년(52.61%) 수준에 근접했다. 고점을 형성했던 2015년 70.92%에 비하면 17.32%포인트 낮아진 수치다.
다만 지역에 따라 편차가 크다. 지난 해까지 서울 매매가격 상승을 이끌었던 강남4구(44.15%~50.28%)와 마포(58.23%)ㆍ용산(47.35%)ㆍ성동구(57.27%) 등 이른바 '마∙용∙성'을 중심으로 전세가율이 낮게 형성돼 있다. 반면 중랑(69.69%)ㆍ강북(66.61%)ㆍ구로(66.15%)ㆍ관악구(65.68%) 등은 상대적으로 높은 전세가율을 보였다.
전세가격 수준은 통상 매매시장의 선행지표로 활용된다. 전세가격이 매매가격에 근접할수록 실수요자의 내 집 마련이 활발해지면서 매매시장이 상승폭을 확대하는 기폭제로 작용한다.
반면 전세가격이 매매가격의 절반 수준(전세가율 50~60%)에서 움직인다면 실수요자는 내 집 마련에 소극적으로 변한다. 이는 전세가율이 낮으면 낮을수록 매매 전환에 투입되는 비용 부담이 상대적으로 늘어나기 때문이다.
윤지해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최근 서울 강남권 주요 단지를 중심으로 주택시장이 바닥을 다졌다는 평가와 함께 집값이 반등에 나서는 분위기”라며 “하지만 전세가율이 현재처럼 50%대로 낮아져 있는 상황에서는 매매가격이 과거처럼 상승폭을 확대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