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한은이 발표한 ‘2019년 하반기 경제전망’ 자료에 따르면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올해 2.2%, 내년 2.5%로 예상했다. 이는 직전 4월 전망치(각각 2.5%, 2.6%) 대비 하향조정한 것이다.
우리 경제의 체력이라 할 수 있는 잠재성장률 전망치도 2019년부터 2020년 중 2.5%에서 2.6%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2016년부터 2020년까지 기존 전망치(2.8~2.9%) 보다 낮은 것이다. 이를 감안하면 올해 성장세는 잠재성장률에도 미치지 못하는 부진한 상황을 이어갈 것으로 판단한 셈이다.
부문별로 보면 민간소비는 완만한 증가흐름을 보이겠지만 가계소득 증가세 둔화와 소비심리 개선 지연 등으로 작년보다 증가율이 낮아질 것으로 봤다(4월 전망 2.5%→7월 전망 2.3%). 설비투자는 정보통신(IT) 부문 업황부진과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불확실성 증대로 감소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했다(작년 -2.4%→올 -5.5%). 다만 내년에는 반도체 경기회복 기대와 함께 글로벌 불확실성 완화 등으로 증가 전환(3.4%)할 것으로 전망했다.
건설투자는 주거용 건물건설을 중심으로 감소세가 지속될 것으로 봤다(작년 -4.3%→올 -3.3%→내년 -1.6%). 상품수출 역시 지난해에 비해 증가세가 상당폭 둔화할 전망이다(작년 3.3%→올 0.6%→내년 2.4%). 통관수출의 경우 IT 수출은 반도체단가 하락세가 지속되면서 상당폭 감소할 것으로 봤으며, 비IT 수출도 감소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했다.
소비자물가는 올해 0.7%, 내년 1.3%로 예측했다. 이 또한 4월 전망치(각각 1.1%, 1.6%)에서 크게 조정된 것이다. 식료품 및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인플레이션율도 올해 1.2%에서 0.8%, 내년 1.5%에서 1.2%로 각각 낮췄다.
국내총생산격차(GDP갭률)가 마이너스 수준을 지속하는 등 수요측 물가 상승압력이 약화한데다, 국제유가 및 농축수산물 가격 등 공급측 요인과 함께 고교 무상교육, 전기료 누진세 개편, 개별소비세(개소세) 인하 연장 등 정부의 복지정책 등이 작용했기 때문으로 풀이했다.
내년에는 공급측 하방압력이 완화되는 가운데 간접세 인하 종료 등 정부정책 영향도 줄면서 물가상승률이 금년보다 높아질 것으로 봤다. 다만 오름세는 완만할 것으로 예상했다.
실업률은 올해 3.9%, 내년 3.8%로 예상했다. 이는 직전 전망치(각각 3.8%, 3.7%)보다 상향조정된 것이다. 다만 취업자수는 올해 14만명에서 20만명으로, 내년 17만명에서 18만명으로 각각 높여 잡았다.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취업자 증가세가 지속되겠지만 제조업과 건설업 부진이 제약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봤다.
경상수지도 하향조정했다. 올해는 665억달러에서 590억달러로, 내년에는 650억달러에서 585억달러로 낮춰잡았다. 상품수지는 수출여건 악화로 주력 품목의 수출이 줄면서 흑자폭이 축소될 것으로 본 반면, 서비스수지는 여행 및 운송수지 개선 등으로 적자폭이 줄 것으로 봤다. 이에 따라 GDP대비 경상수지 흑자비율은 금년 3%대 중반에서 내년 3%대 초반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수출과 투자 부진이 이어지고 있으며 앞으로의 여건도 낙관하기 어렵다”며 “물가 역시 수요측 압력이 예상보다 미약한 가운데 공급요인과 정부정책 영향이 컸다”고 설명했다.
앞서 한은은 기준금리를 기존 연 1.75%에서 25bp 낮춘 1.50%로 결정했다. 이는 2016년 6월 25bp 인하 이후 3년1개월만에 첫 인하다.
한편 한은은 경제전망 발표시점을 기존 1·4·7·10월에서 2·5·8·11월 금통위 일로 변경키로 하고, 올 4분기부터 적용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다음 경제전망 발표시점은 기존 10월에서 11월로 한달 미뤄질 예정이다. 아울러 익익년 전망을 2개월 앞당겨 발표한다. 이에 따라 올 11월 전망 발표시엔 2021년 전망치를 같이 발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