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 상반기 중 폐기한 손상화폐 규모는 3억5000만장, 2조2724억원에 달한다. 이는 작년 하반기(3억1000만장, 2조2399억원) 대비 4000만장(13.2%) 늘어난 것이다.
종류별로는 은행권이 3억3000만장(2조2712억원), 주화가 1340만개(12억원)에 달했다. 권종별로는 만원권이 1억8000만장으로 폐기은행권의 절반이 넘는 53.7%를 차지했고, 이어 천원권(1억3000만장, 39.3%), 5천원권(2000만장, 5.4%), 5만원권(1000만장, 1.6%) 순이었다. 화종별로는 10원화가 600만개로 폐기주화의 44.9%를 기록한데 이어, 100원화(470만개, 35.3%), 50원화(150만개, 11.4%), 500원화(110만개, 8.4%) 순이었다.
복수의 한은 관계자들은 “손상화폐 규모가 10% 넘게 증가한데다, 화폐발주량 감소로 화폐제조비용이 늘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들은 이어 “한국조폐공사와 한은이 쌍방독점인 상황에서 조폐공사 설비 유지에 필요한 고정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으로 (화폐) 납품단가가 계산된다. 현금이 자주 쓰이지 않는데다 5만원권 증가폭이 과거보다 줄어 올해 발주량이 은행권의 경우 6억장 밑으로 줄었다”고 덧붙였다.
기념화폐를 제외한 한은의 화폐제조규모는 2017년 은행권 6억500만장(11조5350억원), 주화 5억10만장(841억원)을, 2018년 은행권 6억5000만장(14조5000억원), 주화 1억4620만장(338억원)을 각각 기록한 바 있다.
같은기간 국민들이 한은 화폐교환 창구를 통해 교환한 손상화폐는 36억2000만원어치로 전기(30억5000만원) 대비 5억8000만원(18.9%) 증가했다. 은행권의 주요 손상사유로는 장판 밑 눌림이나 습기에 의한 부패 등 부적잘한 보관방법에 의한 경우가 5억8000만원(1054건)으로 교환건수의 39.5%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이어 세탁 또는 세단기 투입 등 취급상 부주의가 2억3000만원(1042건, 39.1%), 불에 탄 경우가 4억8000만원(572건, 21.4%) 순이었다.
또 일반 국민이 한은에 교환을 의뢰한 손상은행권의 액면금액은 14억2000만원어치였으나, 실제 교환 받은 금액은 12억9000만원에 그쳤다. 1억2000만원(교환의뢰 금액의 8.7%)은 반액 또는 무효 판정을 받아 일부 또는 전액을 교환받지 못했다.
김광명 한은 발권기획팀장은 “불에 탔을 경우 은행권에 붙어있는 재를 털고 가져오는 경향이 있다. 불에 탔어도 은행권에 붙어있으면 남아있는 면적으로 인정해준다는 점에서 재가 됐더라도 그대로 은행에 가져오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편 한은은 남아있는 면적이 원래 면적의 4분의 3 이상이면 전액을, 5분의 2 이상 4분의 3 미만이면 반액을 교환해주고 있다. 5분의 2 미만일 경우엔 무료로 처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