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년 뒤엔 전남·경북·강원·전북 인구의 절반이 60대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됐다. 이들 지역에선 생산연령인구(15~64세) 1명이 유소년·고령 인구 1명 이상을 부양해야 한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시·도별 장래인구 특별추계’ 결과를 보면, 2017년 대비 2047년 총인구는 서울·부산 등 11개 시·도에서 감소할 전망이다. 부산의 인구는 74만 명(21.7%) 급감하게 된다. 서울을 비롯한 주요 광역시의 인구도 큰 폭의 인구 감소가 예상됐다. 이 기간 중 총인구가 증가하는 시·도는 세종·경기·제주·충남·충북·인천 등 6개 시·도에 불과하다.
전년 대비 인구 증가는 2044년 이후 세종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마이너스’로 전환된다. 경북에선 이미 인구가 감소로 돌아섰다. 전북·전남·울산·경남도 내년부턴 인구 감소가 예상됐다.
출생아 수에서 사망자 수를 뺀 자연증가는 2033년부터 세종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마이너스가 된다. 전국에서 합계출산율이 가장 높은 세종도 2042년 자연감소로 전환될 전망이다.
특히 전남·경북·강원의 중위연령은 2047년 60세를 넘어서게 된다. 중위연령은 인구를 연령순으로 일렬로 세웠을 때 가운데 위치한 연령이다. 이들 지역 전체 인구의 절반 이상은 60세 이상이 된다는 의미다. 2017년 기준으로 중위연령이 36.6세에 불과한 세종도 2047년에는 50세를 넘어서게 된다. 반면 생산연령인구는 향후 30년간 1195만 명 감소가 예상됐다. 시·도별로 2047년이 되면 세종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생산연령인구가 2017년보다 적어진다.
이는 급격한 부양비 증가로 이어진다. 2047년 경기·제주를 제외한 7개 도지역과 부산에서 고령 인구(65세 이상) 비중이 40%를 초과하게 된다. 유소년(15세 미만) 인구는 2017년 672만 명에서 2047년 450만 명으로 줄어, 전체 인구 중 비중은 13.1%에서 9.2%로 하락한다. 특히 전남과 울산은 2017년 대비 유소년 인구 감소율이 각각 44.6%, 43.7%에 이를 전망이다.
이로 인해 2047년 시·도별 부양비(생산연령인구 100명당 유소년·고령 인구)는 전남(120.6명), 경북(114.0명), 강원(112.3명), 전북(110.4명), 경남(101.4명)에서 100명을 넘어선다. 울산은 출산율 감소에 인구 유출까지 겹치면서 부양비가 2017년 31.9명에서 2047년 87.9명으로 30년간 175.8% 치솟을 것으로 예상됐다.
김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각 시·도에서의 인구 성장에서 인구 감소가 (직전 조사보다) 빨라졌다”며 “저출산으로 인한 고령화 결과가 반영된 결과라고 보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