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각 카드사는 금융당국이 5년 동안 흑자를 낼 만한 신용카드 상품만 시장에서 팔도록 허용하겠다는 방안을 마련하자, 내부 검증에 돌입했다. 각 사는 카드론 수익을 이익으로 포함하고 일회성 마케팅비와 간접비를 비용에 포함한 검증 모델을 통해 수익성을 검토 중이다. 각 사마다 검증 결과 통보 시기는 차이가 있겠지만, 해당 TF 종합 결과는 이달 안으로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전까지 카드사는 자체 기준으로 카드별 수익을 계산해 금융감독원에 보고했다. 하지만 일부 카드사는 간접비를 포함하지 않고 계산하는 등 수익 계산 방법이 달랐다. 한 가지 카드를 1년간 쓰다가 다른 카드로 갈아타면 수익을 어떻게 계산해야 하는가와 카드론 이익 계산 방법 표준화도 해결해야 한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이 두 장의 카드를 사용하지만, 카드론은 한 명이 이용하는 상품이므로 카드론 이익을 각 카드에 어떻게 배분할지 결정해야 한다.
검증 모델이 통합되면서 카드사 입장도 엇갈린다. 공격적 마케팅으로 시장 점유율을 높여야 하는 중·소형사와 카드론 수익이 없는 지방은행은 이에 반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당국은 흑자 카드 허용 방안에 ‘논의 중’이라는 입장이지만, 카드업계는 전 업계의 대안 의견 도출이 힘들어 당국 정책대로 결론이 날 것으로 전망했다.
여기에 카드업계는 전폭적인 정책 지원을 받는 핀테크 업계와의 차별대우가 지나치다는 반응이다. 최근 ‘토스’를 운영 중인 비바리퍼블라카는 선불 충전식 토스카드를 내놓고 편의점과 카페 결제시 100% 캐시백 행사를 진행했다. 정부는 제로페이 단말기 무상지원이 리베이트가 아니라는 결론을 냈다.
한 카드업계 관계자는 “핀테크 결제는 전폭적으로 지원하면서 카드업계는 하던 것도 못 하게 막는 상황”이라며 “한쪽을 누르는 방식이 아닌 ‘윈-윈’할 수 있는 정책으로 진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흑자카드 발급 허용책은 일회성 마케팅 비용을 줄여 단기적으로는 카드사 간 출혈 경쟁을 막아 비용을 낮출 것”이라며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내부 시장 경쟁 축소로 대외 경쟁력 저하는 물론 고객 혜택 감소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금감원은 각 카드사에 카드상품 수익성 계산 때 카드론 이익과 일회성 마케팅 비용을 포함해 5년간 수익이 흑자인 상품만 승인하겠다는 내용을 전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