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가 관세 인상과 화웨이테크놀로지에 대한 거래 중단 등 전면적인 압박을 가하는 가운데 중국이 한국 기업을 희생양 삼으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중국 정부가 최근 미국의 마이크로소프트(MS)와 델컴퓨터, 영국 반도체 설계업체 ARM 등 글로벌 하이테크 기업 관계자들을 불렀으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한국 기업들도 소환된 업체에 포함됐다고 8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가 사정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회동은 지난 4~5일 이뤄졌다. 이는 중국이 미국의 무역 블랙리스트에 맞서 자체적으로 ‘신뢰할 수 없는 기업’ 목록을 도입하겠다고 밝힌 직후 시점이라고 NYT는 전했다.
NYT는 중국 정부가 미국 기업들에 대해서는 트럼프 정부의 정책을 따르면 ‘영구적인 결과’에 직면할 것이라고 위협하는 한편 미국 내 로비 활동을 강화할 것을 넌지시 압박했다고 전했다.
삼성과 SK하이닉스 등 제3국 기업들에 대해서는 중국 기업들과의 현 관계를 유지하면서 공급을 정상적으로 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무역 개방과 지식재산권 보호에 대한 약속을 지키겠다는 당근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경제계획 사령탑인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가 회의를 주재했으며 상무부와 산업정보기술부 관리들도 참석했다. 3개 정부기관의 개입은 중국 고위급에서 당시 회동을 조율하고 최상위 지도부에서 이를 승인했음을 의미한다고 NYT는 풀이했다.
당시 중국 정부 관계자들은 미국 기술을 자국 기업에 판매하지 못하도록 하려는 트럼프 정부의 제재에 협조하는 외국 기업들이 ‘심각한 결과’에 직면할 것이라고 강도 높게 경고했다. 또 중국 정부는 해외로의 생산기지 이전 움직임에 대해서도 ‘표준적인 다변화(Standard Diversification)’를 넘어서는 것으로 간주되면 처벌받을 수 있다고 위협했다.
회동에서 그 이름이 직접적으로 거론되지는 않았지만 전문가들은 결국 화웨이를 지원하고자 중국 정부가 나섰다고 설명했다. 유라시아그룹의 폴 트리올로 지오테크놀로지 부문 대표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공산당은 미국과의 대립이 화웨이에 막대한 피해를 줘 중국이 차세대 이동통신망인 5G를 전개하지 못하는 상황에 이르게 된다면 중국 경제의 미래를 지킬 수 없다고 인식한 것 같다”고 말했다.
좀 더 광범위하게 살펴보면 중국 정부의 이런 경고는 자국 경제를 다른 세계와 연결시키는 정교한 공급망의 급속한 붕괴를 막으려는 시도로 보인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 관계가 붕괴해가면서 많은 글로벌 대기업이 장기적인 위험을 피하고자 다른 곳으로 공장을 이전하려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