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에서 알아주는 자산운용사 대표도 공모리츠를 운용하는 시도에 대해선 고개를 절로 젓습니다.”
한 리츠업계 관계자가 기자에게 들려준 얘기다. 그만큼 공모리츠(Reits)를 상장하는 일은 업계에서 잔뼈 굵은 ‘고수’도 쉽지 않은 일이다.
먼저 눈치 봐야 할 ‘시누이’가 있다. 리츠는 부동산투자회사법상 국토교통부가 주관하지만 이를 공모해서 상장할 경우 금융위원회의 심사를 거치게 된다. 금융위 입장에서 공모리츠는 실적으로 잡히지 않는 남의 집(국토부) 물건이다. 때문에 자기 물건인 부동산펀드만큼 협조에 적극적이지 않다.
공모 리츠에만 적용하는 엄격한 잣대도 문제다. 투자자산을 빚내서 사들인 뒤에야 공모에 나설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신한알파리츠의 경우 지난해 4월 판교 알파돔 6-4빌딩을 5454억 원에 산 뒤 7월에서야 공모할 수 있었다. 이후 10월 1800억 원 규모의 용산더프라임타워 지분을 33%에서 100%로 끌어올렸지만 이를 위한 유상증자는 올해 1월 하순에 이뤄졌다. 이랜드, 신한금융, 홈플러스 등 대형사가 공모리츠 시장에 뛰어든 상황에서도 불신으로 인한 금융비용이 계속해서 발생한다.
악마는 또 디테일에 있다. 공모리츠가 하는 사업은 결국 투자자산을 늘렸다가 팔았다 하는 일이다. 문제는 그때마다 사업계획을 변경하기 위해 주주총회를 열어야 한다는 점이다. 개인투자자가 수천 명에 이르는 공모리츠가 의결 정족수를 채우는 일은 비용 소모가 엄청나다. 제조업 회사가 공장 하나 지을 때마다 주총을 연다고 생각해보자. 전체 수익의 90%가 배당되는 만큼 비용을 줄여야 개인투자자에게도 이득인 셈이다.
각종 규제로 노후 수단인 집을 팔게 유도할 거면 대체투자처인 공모리츠를 제대로 활성화해야 한다. 정부가 지난해 12월 리츠 활성화 방안을 내놓았지만 정작 업계가 원하는 부분은 긁어주지 못했다. 공모리츠는 시중 유동자금을 끌어들이고, 시세차익이 아닌 임대수익에 중점을 둔 상품인 만큼 부동산 시장 안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세제 혜택, 제도 개선 등으로 키울 거면 전격적으로 키워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