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위원장은 매년 1월 1일 신년사를 통해 지난 한 해를 평가하고 새해 국정 운영 지침뿐만 아니라 국제 사회를 향한 메시지를 내놓고 있다. 올해 남북과 북미 관계 회복의 신호탄이 김 위원장의 신년사였던 만큼 이번 신년사에 어떤 메시지를 담느냐에 따라 남북 및 북미관계가 좌우될 전망이다.
이번 신년사의 가늠자 역할을 할 김 위원장의 군 최고사령관 추대 7주년 군 관련 업적에서 핵 무력이 언급되지 않은 점에서 힌트를 찾을 수 있다. 또 업적 중 노동당의 군 장악과 군내 부정부패를 언급하고 국방공업의 현대화와 과학화를 강조한 점에서 선군정치보다는 내부 자력갱생과 북미, 남북 관계의 진전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담을 가능성이 크다.
특히 내년 초로 예정된 북미 정상회의와 관련해 긍정적 메시지가 나온다면 지지부진하던 북미 고위급회담도 다시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남북 경제협력에 대한 김 위원장의 약속 이행을 촉구하는 목소리도 나올 가능성이 있다. 지난 10월 7일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의 북한 방문 이후 북한은 ‘대화와 제재는 양립할 수 없다’며 공식 논평을 자제하고 있다. 최근 조선중앙통신이 개인 필명 논평으로 ‘미국의 상응 조치 없이 절대 움직이 않겠다’고 밝혔다는 점에서 미국의 상응 조치를 요구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만일 김 위원장이 북미 관계와 관련한 통 큰 화해 메시지를 내놓는다면 서울 답방과 2차 북미 정상회담이 앞당겨질 가능성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