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아태지역 경제복원력 강화·국제공조 확대해야”

입력 2018-11-19 09: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아태지역 채권시장 발달 긍정적 기여와 함께 적지 않은 부담도

(한국은행)
(한국은행)
“대외 충격으로 인한 자본유출입 확대가 시스템 리스크로 이어지지 않도록 경제 전반의 복원력을 강화해야 하겠다. 또 금융안정망 확충을 위한 국제공조를 지속해야 한다.”

이주열<사진> 한국은행 총재는 19일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2018 BOK-BIS(한국은행-국제결제은행) 공동컨퍼런스’ 개회사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아태지역 채권시장 발달은 금융시장 발전과 정책운용에 있어 많은 긍정적 기여와 함께 적지 않은 부담을 동시에 초래하고 있다”며 “이를 위해 경상수지 개선, 외환보유액 확충, 환율 유연성 확대 등을 통해 대외리스크에 대한 대응능력을 높이고, 치앙마이 이니셔티브 다자화(CMIM), 아시아 채권시장 이니셔티브(ABMI), 아시아 채권기금(ABF) 등을 통해 역내 금융안전망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해 온 아태지역 국가들은 앞으로도 역내 차원뿐만 아니라 국제통화기금(IMF)·BIS 등 국제기구와 글로벌 금융안전망 구축을 위한 협력을 꾸준히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앞서 아태지역 채권시장 발단은 금리중심의 통화정책 운영체계가 원활히 정착하는데 기여했고, 외국인 채권투자가 늘면서 단기 은행차입과 주식투자에 의존하던 외자유입 경로가 다양화하는 등 긍정적 변화를 가져왔다고 평가했다. 다만 외국인 투자자의 역내 채권 보유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채권금리가 자국 경제상황이나 통화정책 외에도 글로벌 요인에 크게 영향을 받는 점, 외국인 채권자금이 대규모 유출로 반전될 경우 금융·외환시장 불안이 확대될 가능성이 한층 높아진 점을 또다른 어려움으로 평가했다.

한편 ‘아태지역 채권시장의 구조, 참가자 및 가격 형성’을 주제로 19일부터 20일까지 양일간 열리는 이번 국제컨퍼런스는 이 총재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7개 세션과 종합토론 성격의 패널세션 등이 진행될 예정이다. 독일연방은행 Emanuel Monch 연구원장과 Agustin Carstens BIS 사무총장, 신현송 BIS 조사국장, 신관호 고려대 교수, 함준호 연세대 교수(전 금통위원), 고승범 금통위원 등이 참가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세계 야구 최강국 가리는 '프리미어12'…한국, 9년 만의 우승 가능할까 [이슈크래커]
  • ‘뉴롯데’ 시즌2 키 잡는 신유열...혁신 속도 [3세 수혈, 달라진 뉴롯데]
  • 도지코인, 일주일새 130% 폭등…4년 만에 신고가 기록할까
  • 오늘 최강야구 시즌 마지막 직관전, 대학 올스타 티켓팅…예매 방법은?
  • 긁어 부스럼 만든 발언?…‘티아라 왕따설’ 다시 뜨거워진 이유 [해시태그]
  • 뉴욕 한복판에 긴 신라면 대기줄...“서울 가서 또 먹을래요”[가보니]
  • 현대차·도요타도 공장 세우는 ‘인도’…14억 인구 신흥시장 ‘공략’ [모빌리티]
  • 예비부부 울리는 깜깜이 '스·드·메' 가격 투명화…부당약관 시정
  • 오늘의 상승종목

  • 11.12 14:5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5,700,000
    • +12.09%
    • 이더리움
    • 4,728,000
    • +9.24%
    • 비트코인 캐시
    • 647,000
    • +9.57%
    • 리플
    • 852
    • +7.17%
    • 솔라나
    • 309,000
    • +8.5%
    • 에이다
    • 832
    • +5.72%
    • 이오스
    • 806
    • +4.95%
    • 트론
    • 238
    • +3.93%
    • 스텔라루멘
    • 165
    • +1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100
    • +7.93%
    • 체인링크
    • 20,780
    • +8.97%
    • 샌드박스
    • 440
    • +10.5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