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는 11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제7차 일자리위원회 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바이오헬스, SW, IP 분야 일자리 창출 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회의는 고령화 시대에 성장산업으로 주목받는 바이오헬스 분야와 청년 고용효과가 높은 소프트웨어 분야, 국가기업 경쟁력과 직결되는 지식재산 분야를 중심으로 대책을 마련한 것이 특징이다.
주요 내용을 보면 우선 바이오헬스는 △제약·의료기기·화장품 산업 육성 △바이오헬스 창업 활성화 △바이오헬스 전문인력 양성 △미래 신산업 육성 및 해외시장 진출을 지원한다.
인공지능을 활용한 신약개발 기간 단축에 75억 원, 스마트 임상시험 기술 개발에 27억 원, 혁신형 의료기기 연구개발(R&D) 확대에 2020년부터 2029년까지 2조 8000억 원이 투입된다. 바이오헬스 창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초기 창업기업 펀드를 300억 규모로 시작하고 신약개발 등을 위한 펀드를 내년에 1000억 원 규모로 조성한다. 미래 신산업 육성을 위한 보건의료 빅데이터 연계, 맞춤형 정밀의료 R&D 등에 24억 원, 113억 원이 각각 투자된다. 이를 통해 2022년까지 바이오헬스 관련 일자리 4만2000개를 만들고 연간 900개의 벤처창업을 지원한다. 전문인력 1만 명 양성도 추진한다.
SW에서는 SW 기반 혁신 일자리 창출과 SW 산업 생태계 혁신의 투트랙 접근을 통해 2022년까지 4차 산업혁명 분야 중심의 유망 SW 일자리 2만 개를 창출한다.
세부적으로는 SW 중심대학을 내년에 35개로 확대하고 AI, 블록체인 등 8대 분야에서 2021년까지 5400명의 인재를 집중 양성할 계획이다. 연 500명 규모의 최고급 SW 인재를 양성하는 이노베이션 아카데미도 설립된다. SW 고성장클럽 200을 선정해 집중 지원하는 프로그램도 새로 도입한다. SW 산업진흥법 전부 개정을 통한 불합리한 발주관행과 근로환경 개선, 민간투자형 공공SW사업 활성화 등을 추진키로 했다.
IP 분야에서는 세계 4위의 지식재산 강국(특허출원 건수 기준)이라는 점을 활용해 특허, 디자인 등의 지식재산을 혁신성장·일자리 창출에 적극 활용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대학생 IP 실무 교육을 강화하고 발명·특성화고 지정 확대(12개교), 지식재산 교육 선도대학 확대(57개) 등을 추진한다. IP 창출·보호·활용을 풀 패키지로 지원해 K-유니콘 8개를 육성하고 관련 R&D도 5년간 1880개 과제로 확대한다. 8200억 원 규모의 중소·벤처기업 투자 펀드 조성과 AI기반 특허행정 시스템 구축 등을 통해 혁신성장과 인프라 구축을 촉진한다. 이를 통해 2022년까지 양질의 지식재산 직접 일자리 1만1000개·간접 일자리 3만5000개를 만든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