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지방자치단체의 출산·육아 지원정책이 1년 새 516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신·결혼 지원정책을 비롯한 전체 출산 지원정책은 1년 전보다 670개 늘었다.
보건복지부는 이 같은 전국 지방자치단체의 출산 지원정책을 한눈에 보여주는 ‘2017년도 지방자치단체 출산 지원정책 사례집’을 발간한다고 27일 밝혔다.
사례집에는 출산 축하용품, 출산지원금, 출생아 보험료 지원, 산후조리비용, 모유 수유교실, 출산·결혼 축하메시지 신문 게재, 예비부부교실 등 다양한 지원정책이 담겼다.
사례집에 따르면 지난해 지방자치단체가 실시하고 있는 출산 지원정책은 총 2169개로 1년 전(1499개)보다 670개(44.7%) 증가했다. 임신 지원 603개, 출산 지원 746개, 육아 지원 728개, 결혼 지원 92개 등이었다. 출산과 육아 분야에서 각각 268개, 248개 늘어 가장 큰 증가폭을 보였다.
지원방식별로는 서비스 지원이 614개로 가장 많았다. 이어 현금 지원 571개, 현물 지원 346개, 교육 304개, 홍보 지원 236개, 바우처 지원 98개 순이다. 지역별로는 경기(366개), 경북( 227개), 서울(224개) 순으로 많은 지원정책을 시행 중이다.
사례집을 통해 지방자치단체별로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의 출산 지원정책 현황과 2017년도에 새롭게 도입된 정책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주요 사례를 보면 부산광역시는 도시철도에 임산부가 접근하면 임산부 배려석에 불빛이 들어와 자연스럽게 양보할 수 있도록 하는 핑크라이트 사업을 도입했다. 경기도 부천시는 찾아가는 음악회, 저출산 극복 뮤지컬 공연 등의 지원을 새롭게 시작했고, 전남 보성군은 임산부 할인음식점을 지정·운영해 전체 음식요금의 10%를 할인해주고 있다.
광역자치단체 중 2016년 합계출산율이 1.89로 가장 높은 세종특별자치시는 행복맘 원스톱 통합지원센터 운영, 임산부 검진비 지원, 임산부 교실, 출산지원금, 산후조리 지원 등의 지원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손문금 건복지부 출산정책과장은 “이번 출산 지원정책 사례집은 지방자치단체가 실시하고 있는 서비스를 유형 및 종류별로 게 알기 쉽게 정리했다”며 “이를 통해 국민이 임신·출산과 관련해 자신에게 맞는 지원 내용을 정확히 인지해 혜택을 놓치지 않고, 지방자치단체는 새롭게 지역 여건에 맞는 출산 지원정책을 발굴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