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이란 핵 협정 파기에도 불구하고 환율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관측이다. 다만 불확실성에 따른 변동성 확대요인으로는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문제는 경제제재라는 후속조치에 미국 외에 유럽 등 서방세계와 중국, 인도 등이 참여할 것이냐는 것이다. 다만 유럽도 트럼프 결정에 거리를 두는 분위기인데다 6개월이라는 유예기간도 있어 경제제재 효과가 가시화하기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이라는 관측이다. 당장 외환시장에서 이란 핵 협정 파기를 반영하기 힘든 이유다.
다만 최근 글로벌 금융시장의 달러화 강세, 유로화와 신흥국 통화 약세 분위기를 연장할 재료로는 봤다. 이는 최근 인플레 호조에 따라 미 연준(Fed)의 6월 금리인상 가능성이 가시화하고, 유럽경제가 생각보다 부진하면서 유럽중앙은행(ECB)의 긴축조치가 지연될 수 있다는 관측에 힘이 실리고 있기 때문이다.
이창선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어느 정도 예견됐던 것이라 외환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할 듯하다”면서도 “안전자산 선호 분위기에 따른 달러화나 엔화 강세, 신흥국 통화 약세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했다.
향후 관련 이슈에 대한 트럼프 언급이나 추가 제재조치 등 불확실성은 남아있다고 봤다. 그때마다 환율 변동성은 확대될 것이라는 진단이다.
하건형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G2(미·중) 무역분쟁도 완만한 타협으로 방향을 잡고 있지만 마찰음도 존재했었던 점에 비춰 이란 핵 협정 역시 같은 양상을 보이지 않을까 싶다. 그때마다 환율 변동성은 확대될 수 있겠다”고 말했다.
반면 대내적으로는 원화 강세 요인도 만만치 않다. 남북에 이은 북미 정상회담이 예정돼 있고, 조만간 환율시장 개입정보를 공개할 계획이기 때문이다.
이 수석연구위원은 “(이란 핵보다) 더 주목해야할 변수는 6월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북미 정상회담 결과”라며 “이란 이슈에 원·달러 환율이 좀 더 오를 수 있겠지만 북미 정상회담 결과에 따라 다시 하락할 수 있겠다”고 예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