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제2금융권의 채용비리를 조사하겠다고 밝힌지 두 달이 지났지만 아직까지 현장 검사에 나서지 못하고 있다. 제보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시스템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9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2월 8일 제2금융권 채용실태 점검 등을 위해 금융회사 채용비리 신고센터 운영을 시작했으나 현재 검사에 들어간 곳은 단 한 곳도 없다. 검사 일정도 정해지지 않은 상황이다.
앞서 금융감독원은 공공기관, 은행 등에 대한 채용비리를 조사하면서 제2금융권으로 조사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에 따라 금융회사 채용비리 신고센터를 설치했다. 구체적인 채용비리 증거 제출, 신뢰할 만한 제보 등에 대해 직접 현장점검을 실시하고, 채용비리 정황이 확인될 경우 수사기관에 수사를 의뢰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예상과 달리 제2금융권에 대한 채용비리 제보는 큰 성과가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게다가 대부분 제보의 내용이 부실하거나 제보자와 연락이 닿지 않아 실질적으로 조사를 검토할 만한 사례는 ‘몇 건’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익명, 허위연락처 등에 의한, 소위 ‘카더라’ 식의 제보도 상당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제보자가 채용비리 증거를 확보하지 못 하더라도 정황 파악을 위해 연락이 되어야 하는데, 메일이 반송되거나 통화가 거절되는 등 어려움이 많다”고 말했다.
제보를 받아 검사하는 방식으로는 채용비리 적발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지만 여건상 전수조사는 쉽지 않아 보인다. 보험, 카드,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 금융회사 수가 많을 뿐만 아니라,채용비리 검사에만 매달릴 수 없기 때문이다. 또 제2금융권은 대부분 지배주주가 경영권을 행사하는 등 은행에 비해 민간회사 성격이 크다는 점 등도 조사를 어렵게 하는 요인이다.
다만 2일 김기식 금융감독원장이 취임하면서 제2금융권 채용비리에 대한 검사 확대 가능성도 예상되고 있다. 김기식 금감원장은 “전반적인 채용비리 조사가 진행되고 있고 2금융권 관련 제보가 들어와서 조사를 할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