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중국산 게임 19% 증가… 매출액 2000억 원 달해

입력 2018-04-03 15:41 수정 2018-04-03 16:0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지난해 국내에 출시한 중국산 모바일 게임 수가 전년 대비 약 19% 증가한 조사결과가 나왔다. 또 구글플레이 스토어 20위권 내 중국산 모바일 게임 매출액은 약 2000억 원을 달성했다.

모바일 풀스택 애드테크 기업 아이지에이웍스는 ‘2017년 국내 중국 모바일 게임 성적 보고서’를 발표했다고 3일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구글플레이에 출시된 중국산 모바일 게임 수는 총 136개다. 이 중 RPGㆍ전략 장르의 게임은 78%를 기록해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다. 하지만 RPG는 전년대비 46%에서 65%로 증가했으며 전략은 27%에서 13%로 감소했다. 출시게임 중 RPG 비중이 증가한 것은 해당 장르가 국내에 진출한 중국산 게임 중 가장 좋은 성적을 보이고 있다는 학습효과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 지난해 국내 구글플레이 매출랭킹 톱 20에 진입한 중국산 게임 수는 총 16개로 전년(11개)보다 5개 늘었다. 이들 게임의 연간 총 매출액은 전년보다 74% 증가한 1965억 원을 기록했다.

아이지에이웍스는 지난해 국내에서 흥행한 중국산 게임의 특징으로 중국색을 벗어난 것을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기존 국내에 출시된 중국산 게임은 특유의 ‘중국풍’을 띠고 있었지만 중국풍은 유저의 호불호가 명확해 유저의 유입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중국적인 색채를 없앤 것으로 분석했다.

또 국내 전문가와의 협업을 통해 이용자를 늘렸다. 지난해 국내에 출시된 중국산 게임을 서비스한 국내 퍼블리셔는 2016년 39개에서 지난해 65개로 확대됐다. 모바일 게임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마케팅 예산과 전략이 필요한데 현지 사정에 이해도가 높은 국내 퍼블리셔와 협업하면서 시장을 공략한 것이 주효한 것으로 풀이된다.

홍성민 아이지에이웍스 중국사업부장은 “중국산 게임이 중국적인 색채에서 탈피하면서 중국 외의 아시아 시장에서 긍정적인 성적을 거두는 일이 점차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며 “한국 시장에서 데이터에 기반한 시장분석을 통해 현지화된 마케팅 전략을 펼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한미일 정상 "北, 러 파병 강력 규탄" 공동성명…'3국 협력사무국' 출범 [종합]
  • '바람의나라 클래식', 원작 재현만으로 장기 흥행 가능할까 [딥인더게임]
  • 이재명 공직선거법 유죄...‘정당 쪼개기’로 434억 '먹튀' 가능?
  • 하루 시작부터 끝까지…변우석과 함께 보내는 하루! [솔드아웃]
  • 다 상술인건 알지만…"OO데이 그냥 넘어가긴 아쉬워" [데이터클립]
  • ‘2025 수능 수험표’ 들고 어디 갈까?…수험생 할인 총정리 [그래픽 스토리]
  • 리스크 털어낸 리플…'美 증시ㆍ비트코인' 하락에도 나 홀로 상승
  • 예금자보호한도 23년 만에 1억으로 상향…금융권 파장은?
  • 오늘의 상승종목

  • 11.1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8,299,000
    • +4.59%
    • 이더리움
    • 4,366,000
    • +1.58%
    • 비트코인 캐시
    • 606,500
    • +4.66%
    • 리플
    • 1,255
    • +16.64%
    • 솔라나
    • 308,800
    • +5.46%
    • 에이다
    • 982
    • +21.69%
    • 이오스
    • 818
    • +6.79%
    • 트론
    • 267
    • +7.66%
    • 스텔라루멘
    • 205
    • +12.64%
    • 비트코인에스브이
    • 92,600
    • +3.52%
    • 체인링크
    • 19,490
    • +7.26%
    • 샌드박스
    • 410
    • +5.9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