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동조선이 정부 지원으로 ‘수리 전문 조선소’로 탈바꿈할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리는 가운데, 수리조선소 업종변경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된다. 선박 수리에 대한 수요가 미미해 독자생존 가능성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는 상황이다.
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부터 성동조선에 대한 실사를 진행해온 삼정KPMG회계법인은 실사 결과를 종합한 컨설팅 보고서를 거의 완성했다.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오는 8일 개최하는 ‘산업경쟁력 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조선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정부와 성동조선해양 채권단은 성동조선의 기능을 기존 신조(新造)선이 아닌, 수리 전문 조선으로 재편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소관 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는 “현재 중견조선사 컨설팅이 진행 중이며, STX조선·성동조선 처리 방안에 대해 전혀 결정된 바 없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업계 관계자는 “정부에는 수리조선소 하나 정도는 있는 게 좋지 않겠냐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꽤 있다”고 귀띔했다.
성동조선이 수리조선소로 업종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주채권은행인 수출입은행의 추가 자금 투입이 불가피하다. 신규자금 투입은 물론 인력감축, 설비 변경, 근로자 재교육 등 과정에서 진통이 예상된다. 문제는 업종 변경 이후다. 일단 선박 수리 물량이 꾸준할지는 미지수고, 물량이 있더라도 성동조선 인근인 통영에는 이미 중형 수리조선소가 있어 공급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순흥 KAIST 해양시스템대학원 교수(연구모임 조선 4.0 대표)는 “국내 수요만으로는 그만한 규모를 운영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해외 선박들까지 수리할 수 있어야 하는데 그걸 우리나라가 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한 교수는 “수리 물량만 꾸준히 확보할 수 있다면, 이런 전제조건이 달린다면 안정적이고 괜찮겠지만, 예전만큼 조선업이 성장 국면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수리 조선은 싱가포르나 필리핀과 같이 해운 선박이 많이 기항지로 삼는 곳에서 발달한다”며 “굳이 멀리가서 고치기 보단, 길목에서 고치려고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현대미포조선은 1975년 국내 최초 수리 조선소로 출발해 1990년 신조 시장에 진출한 뒤 2005년 완전히 전환한 바 있다. 성동조선 관계자는 “수리전문의 개념이 신조와 수리를 동시에 하는 건지, 수리만 하는 건지 모르겠다”며 “어떠한 방식으로 변화해도 장비와 설비의 증설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