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내증시에는 신규사업 진출이나 사업확장을 통해 수익을 개선하려는 기업들이 경쟁적으로 사업목적을 추가하고 있다.
12일 한국증권선물거래소에 따르면 올들어 지난 2월 27일까지 사업목적을 변경하거나 새롭게 추가한 기업은 200개를 넘어섰다. 불과 두달도 안된 기간 치고는 많은 기업이 사업목적을 추가했다. 사업목적 추가가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건설·제조업이다
이중 유가증권시장의 사업목적 추가 공시 기업 73개사를 기준으로 조사한 결과 신정부수혜업종으로 떠오른 건설·제조업(52.05%)이 단연 1위다.
이어 2위를 차지한 신재생에너지(34.25%)를 비롯해 3위인 환경(17.81%), 나란히 공동 4위를 차지한 부동산(9%), 유통(9%) 등이 뒤따랐다.
코스닥시장에서는 사업목적추가 공시 기업 133개사를 기준으로 조사한 결과 유가증권시장과 마찬가지로 건설·제조업(54.89%)이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유통(30.83%), 신재생에너지(21.8%), 부동산(21.05%), 자원개발(12.03%) 순으로 집계됐다.
◇사업목적 추가 이유는
한계에 다다른 기존사업의 성장성과 수익성 앞에 고심하던 기업들이 중장기적으로 성장동력으로 떠오를만한 업종에 진출하려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로 보고 있다.
그 중에서도 신정부 수혜업종으로 떠오른 '건설·제조업'과 최근 한창 주가를 올리고 있는 '신재생에너지업' 등의 인기테마 종목들은 기존 사업과의 연계성이나 사업 장래성을 불문하고 기업들의 사랑을 독차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우리투자증권 투자전략팀 오태동 연구원은 "본격적인 주총시즌을 앞둔 지금 재생에너지업과 같은 인기종목 의 사업목적추가는 기업 입장에서 보면 당연하다"고 말했다.
오 연구원은 "가령 IT기업들의 경우 IT와 환경, IT와 에너지를 접목시킨 정부의 정책방향에 힘입어 발빠른 전환을 꾀하고 있다"며 "타업종에 비해 큰 설비투자없이 재생에너지 전환이 수월하기에 기업의 이익추구 입장에서 접근할 때 일정부분 인정해 줘야한다"고 설명했다.
◇투자시 꼼꼼히 따져보자
그러나 전문가들은 "불확실성이 큰 신규사업 진출은 가시적 성과가 나오기까지 적지않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주가부양에 한계가 있다"며 "사업목적 변경공시만을 믿고 막연한 기대감으로 투자를 결정한다면 큰 낭패를 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우후죽순으로 발표하는 기업들의 사업목적 변경공시들 중에는 '주가띄우기'식의 효과를 노려, 체계적인 사업 구상조차 잡혀있지 않은 '속 빈 깡통'식의 사례가 많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공시했던 사업을 추진하더라도 전문성과 사업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시행되는 문어발식 사업 목적들도 다반사이기에 더욱더 조심스럽다.
이와함께 사업목적 변경과정에서 기존사업과 너무 동떨어진 업종이나 무리한 영역확장을 꾀하는 기업이라면 투자에 있어 신중할 것을 전문가들은 당부한다.
오 연구원은 "전혀 다른 업종을 영위하거나 기술적 노 하우를 감안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위험 요인으로 접근해야한다"며 "이는 사업목적 추가라는 재료적 요인만을 가지고 단기적 차익을 노리는 반짝효과로 그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