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을 포함해 세계적으로 1208종의 암호통화(가상화폐)가 거래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들 암호통화를 11월12일 기준으로 비트코인으로 환산해 달러화로 재환산한 결과, 시가총액은 2010억 달러 정도로 추산됐다. 또한 비트코인을 비롯해 이더리움, 비트코인 캐시, 리플, 라이트코인 등이 시가총액 상위 5종으로서 전체의 85%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 차현진 금융결제국장은 4일 국회 정무위에서 열린 ‘가상통화 및 블록체인 관련 공청회’에 진술인으로 나와 “가상통화에 대한 가격 급등으로 비트코인 외 기타 가상통화(Alt-coin)의 개발과 거래 확대도 동반되고 있다”며 이같은 분석 결과를 밝혔다.
차 국장은 “가격 급등락으로 인해 금년 중 비트코인 가격의 일일변동성은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며 “비트코인 가격의 일일변동성은 금년중 대체로 3∼4% 정도로 금 또는 원‧달러 환율에 비해 높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중국을 제외한 주요국의 경우 가상통화의 발행 및 유통 자체는 민간 자율의 영역으로 인식하고 있다”며 “일본을 제외하고 통합 입법으로 대처하는 경우는 찾아보기 어렵고 규제사안별로 유관 정부부처가 대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가상통화는 P2P 네트워크를 통해 국경을 넘어 거래되고 있는 데다 규제에 대한 국제적인 공감대도 아직 형성되지 않은 상황이어서 개별 국가 차원의 입법만으로 실효성 있는 규제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주요국의 경우, 기존의 통화질서나 금융시스템을 벗어나기 위해 등장한 가상통화에 대해 규제입법을 추진하는 건 정부가 이를 공인하는 의미로 인식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신중한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고 입장을 나타냈다.
차 국장은 “우리 범정부 차원의 ‘가상통화 관계기관 TF’도 우선 유사금융 단속과 소비자 피해 방지를 도모해 나가면서 관련 법의 적용 범위를 보다 명확히 하고 자금세탁 방지 등을 위한 입법을 추진 중”이라고 부연했다.
한편 김진화 (사)한국블록체인협회 준비위 공동대표도 진술인으로 출석, 은행의 가상계좌 활성 계좌수를 근거로 국내 암호화폐 투자자 규모를 약 100만 명으로 추산했다. 김 대표는 “하루 거래대금은 1조 원에서 6조 원 규모”라며 “비트코인 등 주요 암호화폐의 시가총액은 300조 원을 돌파했고 암호화폐를 사칭하는 유사코인을 통한 사기 및 불법 금융다단계가 급증하고 있다”고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