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와 7개 은행의 행장들이 한자리에 모여 가계부채의 위험성에 공감했다.
이 총재와 국민, KEB하나, 신한, 농협, 수출입, 씨티, 수협은행 등 7개 은행 행장들은 1일 태평로 한은 본관에서 열린 금융협의회에 참석해 “정부의 적극적인 가계부채 안정화 대책 등에 힘입어 가계부채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다” 면서도 “가계부채 수준 및 증가율이 여전히 높아 앞으로도 계속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장기적으로 가계대출 증가율을 가계소득 증가율 안에서 관리해야 한다” 며 “가계부채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를 파악해 정책수립에 활용해야 한다”며 정부의 역할을 강조했다.
또한 참석자들은 금리 인상 가능성을 두고 시장과 소통해 본 결과, 기준금리를 인상해도 금융・외환 시장은 대체로 안정적이었다고 평가했다.
이밖에도 미국의 금리 인상 여부가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입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데에도 의견을 같이 했다고 한은 측은 전했다. 자본유출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국내외 경제상황, 투자자의 리스크에 대한 태도 등 다양하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한편 이날 이 총재는 금융협의회 모두 발언에서 지난 30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1.5%로 인상한 배경에 대해 “우리 경제가 3% 정도의 잠재성장률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며 “물가는 아직 1% 중반대이긴 하지만 여기에는 공공요금, 대규모 할인행사 등 일시적 영향이 있기 때문에 앞으로 목표치인 2%까지 오를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이런 여건에서 기준금리를 유지한다면 가계부채 증가 등 금융불균형이 확대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통화 완화정책의 정도를 조정해야 한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다만, 이 총재는 이번에 기준금리를 인상했지만 전반적인 금융 환경은 여전히 완화적일 것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이 총재는 “글로벌 금융시장에서도 경기 회복세에 맞춰 완화 기조를 축소하는 것이 큰 흐름이다” 며 “이런 점을 고려해 한은은 국내 경기 회복세에 따라 완화 정도 조정을 지속적으로 시사해 왔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저금리에 익숙해진 경제주체들이 이제는 차입이나 저축, 투자 등에서 이전과는 다른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이날 금융협의회에는 이경섭 NH농협은행장, 함영주 KEB하나은행장, 허인 KB국민은행장, 이동빈 수협은행장, 은성수 한국수출입은행장, 위성호 신한은행장, 박진회 한국시티은행장 등이 참석했다. 김도진 IBK기업은행장, 박종복 SC제일은행장은 불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