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 패션업체 베네통의 창업주가 82세 나이로 경영 일선에 복귀, ‘구원투수’로 등판한다. 베네통은 한때 ‘유나이티드 컬러즈 오브 베네통(United Colors of Benetton)을 모토로 패션업계에 원색 돌풍을 일으켰다. 아흔을 바라보는 나이에 창업주가 경영 복귀를 선언한 배경에 관심이 집중된다.
베네통의 창업자 중 한 명인 루치아노 베네통 회장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이탈리아 일간 라 레푸블리카와의 인터뷰에서 회사 경영에 복귀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1965년 형제·자매와 베네통을 설립하고 1978년부터 2012년까지 회장을 역임했다.
베네통 회장은 “2008년 당시 1억5500만 유로(약 2005억 원)의 자산을 남겼는데 지난해 기준 회사가 8100만 유로 적자 상태에 놓였다. 올해에는 더 악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감내할 수 없는 고통이다. 이것이 내가 돌아가는 이유”라며 82세 나이에도 경영 일선에 복귀하는 배경을 밝혔다.
베네통은 수수한 색채 일색이던 패션계에 도발적인 원색으로 돌풍을 일으켰다. 캐주얼 의류 브랜드 유나이티드 컬러즈 오브 베네통을 필두로 패션 브랜드 ‘시슬리’, 스포츠 의류 브랜드 ‘플레이라이프’ 등을 전개했다. 그러나 모방기업이 늘어나면서 베네통만의 특색을 잃었다. 2012년 베네통 회장이 아들 알렉산드로 베네통에게 경영권을 넘기고나서 위기는 커졌다. 스페인의 자라, 스웨덴의 H&M 등 SPA 업체들이 부상하면서 어려움을 겪었다. 가족이 아닌 전문 경영인에게 경영권을 넘겼음에도 돌파구를 찾지 못하자 결국 창업주가 발벗고 나섰다.
베네통 회장은 “다른 사람들은 우리를 모방해 유나이티드 컬러즈는 색을 잃었다”며 “자성한다”고 말했다. 그는 “밝은 색으로 가득했던 매장은 어두워졌다. 우리 매장은 남미와 미국에서 문을 닫았다”고 언급했다.
특히 회사의 상징이던 스웨터 제작을 중단한 게 치명타였다. 학교를 그만두고 14살의 나이에 옷가게에서 일하던 베네통 회장은 스웨터를 생산하는 기계를 사들여 노랑·초록색 등의 스웨터를 만들면서 사업을 시작했다. 베네통 회장은 “스웨터 생산을 중단한 게 최악의 죄”라면서 “마치 수로에서 물을 제거한 것과 같다”고 말했다.
베네통이 어려움을 겪는 동안 직원 수는 2008년 9766명에서 현재 7328명으로 줄었다. 베네통 회장은 감원 가능성에 대해 “우리는 모든 이에게 기회를 줄 것이지만 반드시 사업을 가볍게 해야 한다”며 구조조정을 시사했다.
베네통의 전성기를 이끈 사진작가 겸 광고 제작자 올리비에로 토스카니도 17년 만에 베네통에 복귀한다. 이날 영국 가디언은 토스카니가 다문화주의를 다룬 베네통의 새 광고를 제작했다고 전했다. 토스카니는 1982년부터 2000년까지 베네통의 광고 캠페인 감독을 맡았다. 그는 상품을 앞세우지 않고 사회적 금기를 다룬 도발적인 광고로 주목을 끌며 ‘노이즈 마케팅’으로 베네통의 이름을 알렸다. 에이즈로 죽어가는 남성, 탯줄을 자르지 않은 신생아 사진 광고 등이 논란을 일으켰다. 인종은 달라도 심장은 다르지 않다며 인종 차별을 비판한 광고는 사회에 메시지를 던지기도 했다. 가디언은 토스카니의 합류가 베네통이 손실을 극복하려는 여러 시도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
베네통 회장과 토스카니는 베네통의 색채를 되살리는데 의견을 모은 것으로 보인다. 토스카니는 허핑턴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다양한 색채를 되살리겠다”고 밝혔다. 그는 “제품을 재디자인해 우리가 초기에 가졌던 ‘마법’을 갖게 할 것이며 매장도 다시 꾸밀 예정”이라고 밝혔다.
사회적인 광고도 이어갈 계획이다. 토스카니는 “패션은 정치적”이라며 “나는 이상한 일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고 말했다. 그는 “광고계와 미디어는 우리의 캠페인을 비판했지만 우리는 성공을 거두었다”면서 “회사는 경제적으로도 엄청나게 성공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