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연동국고채 발행이 두달째 이뤄지지 않고 있다. 소위 ‘빵(0)’을 찍는 행진이 계속되면서 물가채를 활성화시키고자 하는 정부 노력도 물거품이 돼가는 분위기다.
13일 기획재정부와 채권시장에 따르면 9월 물가채 인수물량은 전혀 없었다. 당초 최대인수물량은 국고채전문딜러(PD)와 예비딜러(PPD) 몫으로 3460억원, 그 외 일반인 몫으로 700억원 등 총 4160억원이었다.
지난달에도 인수물량이 전혀 없어 인수방식으로 전환한 2012년 4월 이후 처음으로 월별 발행액이 전무했었다. 이는 또 2011년 10월 이후 5년10개월만에 발행이 없었던 것이다.
물가채 발행이 없었던 달은 2010년 6월 10-4 종목으로 물가채가 재발행된 후 총 6번째다. 아울러 두달연속 없었던 적은 2011년 3월부터 5월까지 기록한 석달연속 이후 처음이다.
실제 최근 물가채 금리는 박스권 흐름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소비자물가가 8월 현재 전년동월대비 2.6%를 기록해 두달연속 2%를 넘고 있지만 국고10년물과 물가채간 스프레드인 BEI는 7~8월 기간동안 73.1bp에서 81.6bp 사이를 벗어나지 못하는 분위기다.
정부는 그간 물가채 활성화를 위해 여러 노력을 기울여온 바 있다. 통합발행을 기존 1년에서 2년으로 늘렸다 줄였다를 반복했고, 2012년 4월부터는 비경쟁인수방식으로 입찰방식에 변화를 주기도 했다. 또 비경쟁인수 일정도 국고채 10년물 입찰이후 하루에서 이틀로 늘리기도 했었다. 이밖에 PD점수 등에 반영해보기도 하는 등 메리트를 제공하거나 부담을 줄이는 방안 등이 시행되기도 했었다.
앞서 8일 김용진 기재부 차관은 2017년 상반기 우수 PD 시상식에 참석한 자리에서 “PD들과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물가채 발행, 유통 등 물가채 전반에 걸친 제도 개선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와 관련해 이상규 기재부 국채과장은 “제도개선을 빨래 해야할 것”이라면서도 “정리된후 나중에 밝히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