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다음 달 열리는 제19차 공산당 전국대표대회(19차 당대회)를 앞두고 시장 안정에 올인하고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권력을 더욱 강화하게 되는 당대회에 앞서 시장에서 그 어떤 변동이 일어나는 것도 허용하지 않겠다는 매우 완강한 태도를 보이는 것이다.
이런 정부의 강력한 의지에 중국 경제와 금융시장은 들뜨지도 그렇다고 침체되지도 않는 모호한 상태에 있다고 12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분석했다.
WSJ는 이를 보여주는 가장 대표적인 예로 올 초 발표된 대규모 신도시 조성 프로젝트인 국가급 특구 ‘슝안신구(雄安新區)’를 꼽았다. 수도 베이징에서 남서쪽으로 약 160km 떨어진 지점에 조성되는 슝안신구는 뉴욕의 두 배에 달하는 초대형 도시다. 그러나 이 지역 부동산 가격이 하루 아침에 세 배 뛰자 정부는 아예 부동산 거래를 동결했다. 시 주석의 대표적인 업적이 될 슝안신구가 투기꾼들의 놀이터로 바뀌는 것을 용납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나타낸 것이다.
현재 슝안신구 계획은 보류 중이다. 새롭게 완성된 고급 빌라 단지 출입구는 자물쇠로 굳게 닫혀 있으며 반쯤 완성된 아파트 단지 공사도 중단된 상태다.
상하이와 베이징 등 대도시들은 촘촘한 규제를 통해 부동산 가격이 뛰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최근 중국 금융당국이 올해 투자자들의 비상한 관심을 불러일으킨 비트코인과 같은 디지털 가상통화에 대해서도 자국 거래소를 잠정 폐쇄한 것도 슝안신구 프로젝트 보류와 비슷한 맥락이라고 WSJ는 평가했다.
심지어 중국 정부는 왕성하게 해외 인수·합병(M&A)을 벌였던 대기업 최고경영자(CEO)들에게 고삐를 채우면서 자본유출 현상이 심화하는 것도 막았다.
이런 정부의 집중적인 개입에 일부 외국인 투자자들은 중국 경제와 시장이 회복되는 것 같은 느낌을 받고 있다고 WSJ는 전했다. 미국 달러화에 대해 지난해 6% 이상 떨어져 사상 최고 하락폭을 기록했던 위안화 가치는 올 들어 오르면서 낙폭을 전부 만회했다.
중국증시가 올해 완만한 상승기조를 유지하는 배경에도 ‘국가대표’로 불리는 국영펀드 역할이 결정적이었다고 전문가들은 풀이했다. 실제로 지난 5월 국제신용평가사 피치가 톈안먼 사태가 일어난 1989년 이후 28년 만에 처음으로 중국의 국가신용등급을 강등했을 때 오히려 증시는 상승했다.
그러나 시 주석은 그의 첫 번째 임기 5년간 경제의 근본적인 불균형을 일으킨 원인들을 제거하는 데는 거의 성과를 내지 못했으며 경제성장은 빚에 의존해 이뤄지고 있다고 WSJ는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