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15일(현지시간) 국제통화기금(IMF)과 주요 6개국의 자료를 토대로 이들 6개 중앙은행이 발행한 전체 국채의 20%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6개국 중앙은행에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와 유럽중앙은행(ECB), 일본은행(BOJ), 영란은행(BOE), 스위스 중앙은행, 스웨덴 중앙은행 등이 포함된다. 이들 모두 글로벌 금융위기의 파고를 넘기 위해 대규모 양적완화를 단행한 국가라는 공통점이 있다. 이들 중앙은행이 지난 10년 가까이 양적완화를 시행한 결과 이들이 보유한 자산규모는 총 15조 달러에 달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의 4배에 달한다. 특히 6개 중앙은행이 보유한 국채 규모는 9조 달러로, 각국에서 발행한 국채 총액 46조 달러의 20%에 달한다.
이들 중앙은행은 지난 10년간 기준금리를 사상 최저 수준으로 낮추고 대규모 국채 매입 등을 통해 시장에 유동성을 불어넣었다. 이들의 양적완화 정책으로 금융시장의 모습도 상당히 달라졌다. 금융위기 이후 풀린 막대한 유동성은 정크본드와 신흥시장으로 유입돼 해당 시장은 활황을 보였으며 증시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호조를 보였다. 그러나 동시에 자산 가격을 부풀렸다는 우려를 사기도 했다.
국가별로 대차대조표를 살펴보면 최근 ECB의 자산 규모가 달러 기준으로 연준을 넘어섰다. 2017년 현재 ECB의 총자산 규모는 4조9000억 달러로 연준(약 4조4700억 달러)보다 많았다. ECB는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 국채만 2조 달러 가까이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BOJ도 4조5300억 달러의 자산을 보유해 연준보다 많았으며 전체 자산의 85%는 일본 국채였다. 미국 국채는 연준 보유 자산의 50% 이상을 차지했으며, 연방정부가 보증한 국책 모기지업체 패니메이와 프레디맥의 주택저당증권(MBS)이 나머지 40%를 차지했다.
연준의 대차대조표는 제2차 세계대전을 포함해 과거에도 여러 차례 크게 확대됐었다. 하지만, 현재처럼 미국을 포함해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동시에 10년간 자산 규모를 늘린 것은 처음이라고 FT는 지적했다. 눈덩이처럼 불어난 주요국 중앙은행의 자산 규모는 통화정책 정상화 과정이 얼마나 어려울 지, 이를 어떻게 줄여나갈지가 관건임을 시사한다.
시장의 관심은 이제 주요 중앙은행 총재들이 모이는 연준의 연례 경제심포지엄 ‘잭슨홀 미팅’에 쏠리고 있다. 미국 싱크탱크 브루킹스연구소의 데이비드 베셀 재정통화정책담당 이사는 “정책 당국자들이 2013년 연준의 테이퍼링(양적완화 규모 축소) 시사로 발생한 긴축 발작에 한 번 손을 데었던 터라 상당한 신중함과 두려움을 갖고 출구전략에 임할 것”이라면서 “옐런 연준 의장이나 드라기 ECB 총재가 잭슨홀 미팅에서 시장에 메시지를 보내길 원한다면 이번 잭슨홀 미팅은 시장에 매우 중요한 순간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보다 앞서 16일 공개된 연준의 지난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록에 따르면 연준 위원들은 경기 상황과 전망을 고려하면 비교적 조기에 자산 축소에 착수한다는 점을 분명히 밝히는 것이 적절하다는 것에 대체로 일치된 의견을 보였다. 또한 내달 19~20일 열리는 차기 FOMC 정례회의에서는 4조5000억 달러에 달하는 자산규모 축소와 관련한 발표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물가 상승률 둔화로 추가 기준금리 인상 시기에 대해서는 연준 위원들의 의견이 엇갈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