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고리 공론화위 “자문기구 역할...공론화 결과 ‘권고’ 형태로 전달”

입력 2017-08-03 15:58 수정 2017-08-03 17:0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시민배심원단' 명칭도 '공론화 시민대표참여단'으로 변경

신고리 원전 5ㆍ6호기 공사 중단 여부를 결정할 정부 공론화위원회는 3일 “독립적인 지위에서 공론화 과정을 공정하게 관리, 공론화 결과를 ‘권고’ 형태로 정부에 전달하는 자문기구로서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공론화위는 이날 정부청사에서 3차 회의를 열고 이같은 결과를 밝혔다.

김지형 공론화위원장은 회의 결과 브리핑에서 “공론조사는 특정 정책사항에 대해 구속력 있는 결정을 내리는게 아니라, 사안에 관한 공론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공론화위도 그 범위 안에서 소관사항을 관장하는 자문기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와 공론화위원회 사이에 책임과 역할 범위를 둘러싼 ‘책임 떠넘기기’ 등의 논란을 거친 끝에 ‘독립적 공론 관리ㆍ자문기구’로 정리한 셈이다. 앞서 이낙연 국무총리는 책임 떠넘기기 논란과 공론화위원회에 대한 정당성 논란을 놓고 “정부가 어떻게 책임을 떠넘기느냐” 며 “법적인 최종 결정은 정부가 내린다”고 했다.

공론화위는 시민 2만여 명을 대상으로 신고리 5·6호기 공사 여부에 관해 1차 조사를 하고, 1차 조사 응답자 가운데 500명을 무작위로 추출해 토론 등 숙의(熟議) 절차에 참여시킨다.

공론화위는 중도 이탈자 등을 고려하면 500명 가운데 실제 숙의 과정에 참여할 인원은 350명 내외로 추정하고 있다.

또한, 공론화위는 이들 약 350명에 대해 ‘시민배심원단’ 이라는 명칭 대신 ‘신고리 5ㆍ6호기 공론화 시민대표참여단’ 이란 명칭을 붙이기로 결정했다. 줄여서는 '시민참여단'이라 부르기로 했다.

공론화위는 지난달부터 3개월 시한을 두고 활동에 들어갔으며, 10월 21일까지 공론 조사 결과를 도출할 예정이다. 이들 '시민대표 참여단'을 대상으로 조사한 5ㆍ6호기 원전 건설 중단 또는 재개에 대한 의견 비율, 그리고 찬반 선택 중에서도 다양한 의견 수렴, 토론 과정에서 제기된 다양한 대안 등을 고려해 '권고안'을 마련해 정부에 제출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세계 야구 최강국 가리는 '프리미어12'…한국, 9년 만의 우승 가능할까 [이슈크래커]
  • ‘뉴롯데’ 시즌2 키 잡는 신유열...혁신 속도 [3세 수혈, 달라진 뉴롯데]
  • '트럼프 랠리'에 8만9000달러 넘어선 비트코인, 어디까지 갈까 [Bit코인]
  • 오늘 최강야구 시즌 마지막 직관전, 대학 올스타 티켓팅…예매 방법은?
  • 긁어 부스럼 만든 발언?…‘티아라 왕따설’ 다시 뜨거워진 이유 [해시태그]
  • 뉴욕 한복판에 긴 신라면 대기줄...“서울 가서 또 먹을래요”[가보니]
  • 트럼프株·비트코인 못잡았다면 ‘상장리츠’ 주목…잇달아 유증
  • [글로벌마켓 모닝 브리핑] ‘트럼프 랠리’에 기록 대행진…다우 사상 첫 4만4000선 돌파
  • 오늘의 상승종목

  • 11.12 13:5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993,000
    • +9.59%
    • 이더리움
    • 4,701,000
    • +5.57%
    • 비트코인 캐시
    • 643,500
    • +4.21%
    • 리플
    • 855
    • +3.26%
    • 솔라나
    • 309,200
    • +6.18%
    • 에이다
    • 831
    • -0.48%
    • 이오스
    • 800
    • -0.74%
    • 트론
    • 237
    • +2.16%
    • 스텔라루멘
    • 163
    • +4.49%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900
    • +1.94%
    • 체인링크
    • 20,630
    • +4.03%
    • 샌드박스
    • 438
    • +4.2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