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짜다’, ‘달다’와 같은 단순한 말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맛의 향연이 2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홀에서 펼쳐졌다. 한-아세안센터가 작년에 이어 2회째 연 ‘아세안 음식축제’는 동남아시아의 독특한 향신료들이 개성을 뽐내는 장(場)이었다.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 음식축제에서는 아세안 10개국 스타 셰프들이 한자리에 모여 각국의 음식을 선보였다. 오후 1시 반께 시작한 개막식에서는 10개국을 대표하는 셰프와 주한 대사 등 100명이 참석했다. 아세안 각국 대사 및 대사관 관계자들은 셰프들에게 셰프 모자를 수여하며 축제의 시작을 알렸다. 필리핀 셰프는 직접 무대 위로 올라와 쿠킹쇼를 선보이며 한국의 잡채와 비슷한 ‘반싯’을 요리했다. 반싯은 당면, 돼지고기, 닭고기, 새우 등을 주 재료로 한다. 우리나라의 잡채와 모양뿐 아니라 조리법도 비슷하나 피시 소스로 향을 더하고 간을 맞추는 게 특징이다. 라울 헤르난데즈 주한 필리핀 대사는 완성된 반싯을 시식한 뒤 엄지를 치켜들었다.
반싯처럼 동남아 국가의 음식과 한식은 어딘가 비슷한 점이 많다. K푸드가 동남아 시장에서 경쟁력이 있다고 여겨지는 이유도 이 때문일 것이다. 이날 10개 부스에 오른 음식들도 K푸드와 재료, 조리법 면에서 크게 다르지 않아 보였다. 베트남의 분짜, 차조, 태국의 그린커리, 싱가포르의 카야토스트, 아이스 밀크티, 인도네시아의 나시고랭 등 익숙한 음식들이 먼저 눈에 들어왔다. 생소한 음식도 여럿이었다. 필리핀의 아도보, 캄보디아의 쁘라혹 끄띠 등이 대표적인 예다.
가장 긴 줄이 이어졌던 국가의 부스는 싱가포르였다. 15분을 기다려 받아 든 카야토스트와 아이스 밀크티를 시식한 뒤 왜 독보적으로 긴 줄을 자랑했는지 알 것 같았다. 여타 부스들이 강한 향신료로 독특한 개성을 드러냈다면 카야토스트와 밀크티는 친숙함을 무기로 현장에 있는 사람들의 입맛을 사로잡았다. 바삭하게 구운 토스트를 싫어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코코넛, 달걀, 판단잎을 첨가해 만든 카야잼은 그 이름이 생소할지언정 식감과 맛은 익숙했다. ‘아는 맛’이 가장 강력한 경쟁력으로 작용한 셈이다. 토스트 4조각은 순식간에 입속으로 향했고, 한 번 더 시식을 하려 했지만 대기 줄이 시식하기 전의 두 배로 늘어나 포기해야 했다.
베트남의 분짜, 차조, 태국의 그린커리, 얌운센, 인도네시아의 나시고랭, 소고기 사태, 브루나이의 생선튀김, 버터밀크 치킨 등을 시식했는데 모두 특유의 향이 이국적인 느낌을 한껏 더했다. 닭고기, 소고기, 당면, 쌀 모두 친숙한 재료였지만 주인공은 향신료인 듯했다. 동행한 지인을 포함해 현장에서 만난 몇몇 사람들은 강한 향에 거부감을 표했다. 한식보다 간이 센 음식이 많아 미간을 찌푸리는 사람도 보였다.
20여 개의 음식 중 선택받는 음식과 그렇지 못한 음식이 갈리는 광경을 보며 K푸드가 동남아 시장에 진출할 때 무엇을 취해야 하고 무엇을 버려야 하는지 가늠할 수 있었다. 현지 음식에 익숙한 사람들을 끌어당길 친숙함, 호기심을 유발하는 플레이팅 등을 취하되, 지나치게 한국적인 맛과 향을 선보일 때는 좀 더 세심함을 기울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