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진보와 생산효율성 변화에 의한 총요소생산성이 금융위기 후 크게 뒷걸음치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하위권으로 떨어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시장규제와 지적재산권 보호 등 효율성 측면에서의 생산성은 크게 뒤쳐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시장규제 완화와 지식재산권 보호 등 관련 여건개선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는 또 금융위기 이전인 2001년부터 2007년까지 2.4%포인트 증가와 비교할 경우 연평균 2.0%포인트 하락한 것이다. 이를 효율성과 기술진보 요인으로 나눠보면 각각 연 0.6%포인트와 1.4%포인트 떨어졌다.
이를 구매력평가지수(PPP) 3만6000달러를 기준으로 상·하위 OECD국가로 구분해 비교해보면 같은기간 상위국은 0.8%포인트, 하위국은 1.4%포인트 하락에 그쳤다. 또 같은기간 효율성은 상위국가의 경우 0.7%포인트 오른 반면, 하위국가의 경우 보합을 기록했다. 기술진보는 각각 1.5%포인트와 1.4%포인트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하락폭이 더 컸던 기술진보 부문은 OECD 국가 모두 떨어져 별반 차이가 없었던 반면, 효율성 부문 하락폭은 상대적으로 컸다. 이와 관련해 김도완 과장은 “효율성 약화가 우리나라 총요소생산성 둔화의 주 원인인 것으로 보인다. 이는 시장규제 및 지식재산권 보호와 밀접한 관련을 갖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실제 시장규제의 경우 2013년 OECD가 평가한 시장규제지수에 따르면 우리나라 시장규제 수준은 OECD 국가 중 30위에 그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이 2016년 조사한 과학기술혁신역량 평가 결과에 따르면 GDP 대비 연구개발투자총액 비중은 4.29%(OECD 평균 2.00%)로 OECD 국가 중 1위를 기록한 반면, 지식재산권 보호정도는 5.76점(OECD 평균 7.11점)으로 26위에 그쳤다.
김 과장은 “우리나라 시장규제 수준은 과거에 비해 개선돼왔으나 OECD 국가와 비교해 볼 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지재권 보호 관련 환경도 아직 열악한 편”이라며 “시장규제를 완화하고 지재권 보호 관련 여건을 개선해 우리나라 생산성을 높여나가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