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조사 VS 자체조사…'혼술남녀' 조연출 사망 사건을 둔 입장차(종합)

입력 2017-04-18 18:2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출처='혼술남녀' 홈페이지)
(출처='혼술남녀' 홈페이지)

'혼술남녀' 조연출 고(故) 이 모 PD 사망을 놓고 유가족 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가 기자간담회를 개최하면서 사건이 재조명되고 있다.

이 PD의 대책위가 18일 성명서를 발표했다. 성명서에는 고인의 죽음이 CJ E&M에 의한 사회적 살인이라 규정하고, 회사의 사과를 촉구했다. 유가족 측은 장시간 고강도 노동과 군대식 조직문화 등이 이 PD의 사망 이유라고 꼽았다.

고인은 지난해 1월 CJ E&M에 입사했고, 그해 4월 18일 '혼술남녀' 팀에 배치됐다. 하지만 입사 9개월 만인 지난해 10월 26일, 그는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대책위는 '혼술남녀' 제작 현장에서의 과중한 업무 강도에 주목하고 있다. 대책위 측은 "'혼술남녀'의 촬영·장비·조명 담당 외주업체 및 소속 스태프가 교체되면서, 실질적인 제작 기간이 축소됐다. 그로 인해 노동 환경이 극도로 악화됐고, 심각한 노동 강도에 시달렸다"고 주장했다. 대책위가 제시한 자료에 따르면 이 PD는 55일 동안 단 이틀만 휴무 상태였다.

또한, 대책위는 동료들의 언어 폭력도 문제로 지적했다. 대책위는 "CJ E&M이 이례적인 수준의 따돌림이나 인권 침해는 없었다. 하지만 녹취록 등 물적 증거를 통해 현장에서의 욕설 행태를 입증할 수 있다"고 반박했다.

아울러 대책위 측은 "진상규명을 위한 5개월 동안의 조사 과정에서 CJ E&M은 유가족이 조사에 참여하는 것을 거부하고 내부 자체 조사만 고집했다. 뿐만 아니라 객관적 자료는 공개하지 않으면서도 고인의 근무태만을 강조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CJ E&M 측은 대책위와 이견을 보였다.

우선, 대책위는 CJ E&M과 함께 진상조사위원회를 구성, 자체적인 조사를 제안했다. 몇몇에 책임을 묻기 보다는 재발방지가 중요하다는 취지에서다. 하지만 CJ E&M 측은 가해행위를 명명백백히 따지기 위해서라면 경찰 조사를 해야한다는 입장이다.

대책위는 "해당 사건이 한 개인만의 문제가 아니라고 보는 만큼 경찰 조사는 의미가 없다"며 회사 측과 상반된 입장을 보였다.

양 측의 입장이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만큼 해당 사건의 조사가 어떤 방식으로 진행될 지, 대중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긁어 부스럼 만든 발언?…‘티아라 왕따설’ 다시 뜨거워진 이유 [해시태그]
  • 잠자던 내 카드 포인트, ‘어카운트인포’로 쉽게 조회하고 현금화까지 [경제한줌]
  • 단독 "한 번 뗄 때마다 수 백만원 수령 가능" 가짜 용종 보험사기 기승
  • 8만 달러 터치한 비트코인, 연내 '10만 달러'도 넘보나 [Bit코인]
  • 말라가는 국내 증시…개인ㆍ외인 자금 이탈에 속수무책
  • 환자복도 없던 우즈베크에 ‘한국식 병원’ 우뚝…“사람 살리는 병원” [르포]
  • 트럼프 시대 기대감 걷어내니...高환율·관세에 기업들 ‘벌벌’
  • 소문 무성하던 장현식, 4년 52억 원에 LG로…최원태는 '낙동강 오리알' 신세?
  • 오늘의 상승종목

  • 11.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9,601,000
    • +7.81%
    • 이더리움
    • 4,612,000
    • +4.11%
    • 비트코인 캐시
    • 617,500
    • -0.72%
    • 리플
    • 828
    • -1.31%
    • 솔라나
    • 305,400
    • +4.77%
    • 에이다
    • 830
    • -2.12%
    • 이오스
    • 778
    • -5.12%
    • 트론
    • 232
    • +1.31%
    • 스텔라루멘
    • 155
    • +0.65%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100
    • +1.19%
    • 체인링크
    • 20,390
    • +1.19%
    • 샌드박스
    • 415
    • +1.7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