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적 화두로 떠오른 4차 산업혁명은 장미대선에서도 주요 이슈로 자리매김했다.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안철수 전 국민의당 상임공동대표 등 유력 대권 후보들도 저마다 4차 산업혁명 대응책을 주요 국정과제로 내세우며 청사진을 제시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이슈를 다루는 방식은 각 후보마다 차이가 있다. 문 전 대표는 대통령 직속 기구로 ‘4차 산업혁명위원회’ 설치 등 국가의 관리 기능을 강조하고 있고, 안 전 대표는 민간이 기술혁신을 이뤄낼 수 있도록 인재를 육성하자는 쪽이다. 다른 후보들도 저마다 차별점을 갖고 있다. 다만 ‘벤처 생태계를 지원하고 육성한다’는 기본적 접근법은 큰 틀에서 대동소이하다.
이에 주식시장에서는 일찍부터 벤처투자업체(VC) 주가가 들썩였다. DSC인베스트먼트가 대표적이다. 지난해 코스닥에 입성한 이 회사는 처음부터 4차 산업혁명 관련 벤처기업 발굴에 주력해 일찌감치 주목을 받았다. 올해 초 3760원이었던 이 회사의 주가는 3월 말 기준 9120원으로 142.55% 올랐다. 이밖에 티에스인베스트먼트(68.89%), SBI인베스트먼트(36.70%), 우리기술투자(10.45%) 등이 올해 많이 뛰었다.
반면 국내 증시에서 4차 산업혁명의 핵심 분야로 꼽히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자율주행 등 핵심 기술 관련 기업의 주가가 급등한 사례는 찾기 어렵다. 한국은 아직 선진국에 비해 한참 뒤쳐져 있는 만큼 관련 기업이 실제 성과나 투자를 보여준 사례도 없기 때문이다. 이슈에 휘말려서 섣불리 투자했다가는 자칫 큰 투자손실을 입을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투자처에 목마른 일부 투자자들은 4차 산업혁명과의 사소한 연관성에도 민감하게 반응한다. 일례로 최근 급등세를 보인 네오오토와 갤럭시아컴즈의 경우 회사의 관계인이 더불어민주당의 신성장특별위원회에 참여했다는 사실만으로 주가가 크게 움직였다. 투자자들이 4차 산업혁명이 중요성은 인식했음에도 국내에서 마땅히 투자할 만한 곳을 찾지 못해 생기는 현상이다.
전문가들은 오히려 선진국 증시에서 투자 대안을 찾으라고 조언한다. 다만 이 경우에도 개별 기업에 대한 직접 투자보다 여러 종목에 분산 투자할 수 있는 상장지수펀드(ETF)가 적합하다는 설명이다. 김윤서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개별 기업 투자는 4차 산업혁명 관련 매출비중이 상이하고 영업 외적인 리스크도 높기 때문에 ETF 투자보다 더 높은 위험을 수반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