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이 매각을 개시할 경우 가장 주목받게 될 기업은 삼성중공업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사업 포트폴리오가 유사해 합병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고, 조선업계 재편이 자연스럽게 이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조선사의 사업은 크게 △상선(LNG선, 컨테이너선, VLCC) △해양플랜트(드릴십, 반잠수식시추선, FPSO) △방산(군함, 잠수함 등) 세 부문으로 나뉜다. 대우조선해양은 상선에서 LNG선에, 해양플랜트는 드릴십에 주력하고 있다. 삼성중공업 역시 각각 LNG선과 드릴십 수주에 집중하고 있다. 따라서 조선업계에서는 삼성중공업이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하는 것을 가장 이상적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조선3사 체계가 2사로 개편되면서 산업 구조조정이 이뤄지게 된다”며 “양 사가 합병하면 기업도, 하청업체도 규모의 경제를 이룰 수 있고, 조선사가 같은 지역에 있어 관리하기 쉽다”고 말했다.
삼성중공업이 인수하지 못할 경우에도 다른 국내 기업이 인수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국내 조선업의 경쟁력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문제는 국내 기업 중 누가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할 수 있느냐다.
조선업계 및 투자은행(IB) 업계에서는 SK, 대림산업, GS 등을 후보로 꼽는다. IB업계 관계자는 “사모펀드(PEF)에도 매각하는 것이 쉽지 않을 것”이라며 “‘엔지니어링’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건설사들과 SK그룹 등이 시너지를 낼 수 있다”고 말했다.
대우조선해양 매각은 순탄치 않은 과정을 거칠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그러므로 다운사이징과 매각 방식에 있어 조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M&A업계에서는 구주 매각을 최소화하고, 대우조선해양의 차입금 만기 연장 등 인센티브가 있으면 국내 기업들이 관심을 보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구조조정 전문가는 “인수자 입장에서 구주 매입은 돈의 유출이고 신주 매입은 돈이 회사에 남아 인수자가 운영자금 등 직접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제3자배정 유상증자 방식을 선호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대우조선해양은 점진적으로 매출 규모, 사업 비중을 조정하겠다는 방침이다. 대우조선해양 관계자는 “장기적으로 상선 60%, 해양플랜트30%, 방위산업 10%로 바꾸어 나갈 것”이라며 “수익성이 좋은 상선 비중을 늘리면 재무구조가 개선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