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357억 투입 축구장 23배 규모 생활체육시설 92개 신설

입력 2017-02-27 12:3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야구‧축구‧인공암벽 등 17개 종목 생활체육시설 추가 확충

서울 최대 규모의 인공암벽장으로 지난 2015년 문을 연 용마폭포공원 인공암벽장(중랑스포츠클라이밍 경기장). 서울시가 시비 10억 원을 투입, 일반시민부터 전문선수까지 이용할 수 있도록 초급‧중급‧고급 코스로 구분해 설계됐으며 실외뿐 아니라 실내에도 즐길 수 있다는 점 덕분에 작년 매달 평균 1000명 이상이 찾는 지역 명소로 자리 잡았다.

서울시는 이와 같은 생활체육시설을 올해 92개 신설한다고 27일 밝혔다.

시는 늘어나는 서울시민의 생활체육 수요에 맞는 생활체육 인프라를 확충하기 위해 5년간(2014~2018년) 총 261개 시설을 신설하는 내용의 체육시설 확충 5개년 종합계획을 추진 중이다. 최근 3년간 총 994억 원(국·시비)의 예산을 투입해 25개 종목, 총 215개 생활체육 인프라를 새롭게 확충했다. 축구장(정규규격 기준) 23개에 달하는 면적(24만7303.58㎡)이다.

올해는 총 357억 원을 투입해 야구(3개), 축구(2개), 농구(3개), 풋살(4개), 테니스(12개), 배드민턴(52개) 등 17개 종목, 92개 시설을 새롭게 조성한다.

이렇게 되면 총 307개 생활체육시설이 확충 완료되는 것으로, 5개년 목표를 연내 조기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중랑천 등 하천변 국유지, 도림유수지 상부, 신내차량기지 내 유휴부지 등 다양한 공간을 활용하고, 민‧관 협력사업도 추진한다. 주요시설로는 ▲신내차량기지 내 야구장, 축구장(각 1개) ▲중랑천변 국유지 내 국궁장, 테니스장, 농구장(각 1개) ▲도림유수지 내 실내배드민턴장(12코트) 및 인공암벽장(1개) ▲안양천변 국유지 내 야구장, 파크골프장(각 1개) ▲민·관 협력사업을 통해 고척돔구장 내 풋살장(2개) 등이다.

안준호 서울시 관광체육국장은 “체육시설 확충은 생활체육 참여에 대한 동기 부여와 기회를 확대하고 스포츠 생활을 통한 미래 복지비용 절감으로 연결된다”며 “향후에도 유휴 부지를 적극 발굴해 많은 시민들이 활용할 수 있는 체육시설을 지속적으로 확충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긁어 부스럼 만든 발언?…‘티아라 왕따설’ 다시 뜨거워진 이유 [해시태그]
  • 잠자던 내 카드 포인트, ‘어카운트인포’로 쉽게 조회하고 현금화까지 [경제한줌]
  • 단독 "한 번 뗄 때마다 수 백만원 수령 가능" 가짜 용종 보험사기 기승
  • 8만 달러 터치한 비트코인, 연내 '10만 달러'도 넘보나 [Bit코인]
  • 말라가는 국내 증시…개인ㆍ외인 자금 이탈에 속수무책
  • 환자복도 없던 우즈베크에 ‘한국식 병원’ 우뚝…“사람 살리는 병원” [르포]
  • 트럼프 시대 기대감 걷어내니...高환율·관세에 기업들 ‘벌벌’
  • 소문 무성하던 장현식, 4년 52억 원에 LG로…최원태는 '낙동강 오리알' 신세?
  • 오늘의 상승종목

  • 11.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0,801,000
    • +10.5%
    • 이더리움
    • 4,636,000
    • +7.56%
    • 비트코인 캐시
    • 626,000
    • +5.83%
    • 리플
    • 859
    • +7.51%
    • 솔라나
    • 304,600
    • +8.82%
    • 에이다
    • 839
    • +7.15%
    • 이오스
    • 785
    • -1.01%
    • 트론
    • 232
    • +2.2%
    • 스텔라루멘
    • 157
    • +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500
    • +6.61%
    • 체인링크
    • 20,480
    • +6.33%
    • 샌드박스
    • 416
    • +7.2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