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은 37년째 초정밀가공 기술에 매진해 수입대체에 기여한 성 연구원의 공로를 높게 평가해 120번째 ‘이달의 기능한국인’에 선정했다고 20일 밝혔다.
성 연구원은 어린 시절 부모님의 농사일을 도우며 자랐지만, 성적은 늘 상위권이었다. 고교 입학 즈음 담임교사가 장학생으로 고교 입학을 권유했지만 아버지는 상급학교 진학을 반대했다. 큰 형이 기술학교를 나와 전기부품 회사에 다니고 있는데, 3형제 중 누구 하나 더 가르치면 나중에 원망하는 형제가 생긴다며 기술직으로 가라고 한 것이다.
성 연구원은 빨리 기술을 배워야겠다는 각오로 공부와 기술 습득에 매진해 1980년 3월 밀링기능사 2급을 취득했다.직업훈련원을 수료한 그는 삼성전기에 생산기술직 특채로 입사해 정밀가공 기술자의 길로 들어섰다. 브라운관 TV, 휴대전화 등 전자제품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금형 기술 업무를 맡은 것이다.
성 연구원은 다양한 공정 개선 및 품질 개선으로 전자제품의 품질과 생산성 향상에 기여했다. 대표적인 것이 가공공정 무인화 시스템이다. 수작업으로 하던 것을 1회 세팅으로 24시간 무인 작업할 수 있게 돼 가공시간의 획기적인 단축과 함께 생산성을 크게 높였다.
휴대전화와 노트북 PC에 사용되는 사이드뷰(side view)용 LED 리드프레임을 양산하기 위한 사출금형을 192캐비티(cavity)로 제작하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는 데도 일조했다.
성 연구원은 부산 및 세종 사업장, 중국 톈진 사업장 등 국내외 사업장의 기술지원·전수 활동도 해왔다. 지난해 6월부터는 삼성전기 1차 협력사인 세코닉스 평택공장에 파견돼 기술지원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을 인정받아 삼성전기 근로자로는 최초로 2015년 직업능력의 달 근로자 부문 철탑산업훈장을 받았다.그는 삼성전기에 근무하면서 1988년 이후 직무 관련 교육과정 177건 이상을 이수하고 삼성전자 사내 기술대학을 졸업했다. 이러한 자기계발로 삼성전기 현장 근로자 중 최초로 기계가공기능장 자격을 취득해 이 분야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2006년 8월부터 시작한 이달의 기능한국인은 10년 이상 산업체 현장 숙련기술 경력이 있는 사람 중에서 사회적으로 성공한 기능인을 매월 한 명씩 선정·포상하는 제도로, 이번이 만 10주년을 맞는 120번째 선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