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입체(3D) 프린터 장비, 소프트웨어(SW), 금속ㆍ세라믹소재 등 관련 분야를 총 집결해 조만간 ‘입체(3D) 프린팅 산업 육성방안’을 발표한다고 밝혔다.
정만기 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은 17일 철강 전문가, 금속 소재ㆍ장비기업, 자동차ㆍ항공ㆍ발전기 등 수요 기업들과 간담회를 갖고 ‘금속소재 분야 4차 산업혁명 대응전략’을 논의했다.
간담회에서는 4차 산업혁명을 이끌 입체(3D)프린팅 산업의 핵심 소재인 ‘금속분말 소재 육성전략’에 대해 심도 깊은 논의를 진행했다.
이날 정 차관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소비자 맞춤형, 다품종 소량생산 등 제조업 혁명을 촉발할 것으로 예상되는 입체(3D) 프린팅에서의 필수소재인 ‘금속분말’의 중요성이 부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산업부에 따르면 완제품을 생산하는 금속 입체(3D) 프린팅 분야는 대량생산으로 전환하는 시점으로, 2015년 기준 전세계 시장 규모가 8000만 달러에 불과하지만, 앞으로 금속분말 시장의 급성장이 예상된다.
산업부는 금속소재 분야 우수한 연구개발(R&D) 역량과 제조기술ㆍ설비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선제적으로 투자할 경우, 향후 반도체, 석유화학, 철강과 같은 수출 주력 품목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현재 국내 기술수준과 시장경쟁력 모두 선도국 대비 열위이나 격차가 줄고 있으며, ‘정밀금형용 철계(Fe)’와 ‘의료용 타이타늄(Ti)’ 분말의 경우, 국내 수요 시장을 기반으로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간담회 참여 기업들은 금속분말 입체(3D)프린팅 시장이 초기 단계로서 향후 성장 가능성은 높게 보고 있지만, 투자에 따른 높은 리스크와 작은 수요 시장으로 인해 어려움이 있다며, R&D와 수요창출을 위한 정부의 역할을 요청했다.
이에 대해 정 차관은 “시장ㆍ민간 주도의 금속분말 입체(3D) 프린팅 산업 생태계의 조기 구축이 중요하다”며 “정부도 이를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