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이 5년 만에 ‘자유한국당’으로 간판을 바꿔 달고 내부 재정비에 나선다.
새누리당은 오는 13일 상임전국위원회를 열어 자유한국당으로의 당명 개정과 당헌·당규 개정을 확정 짓는다. 현 당헌·당규는 박근혜 대통령이 비상대책위원장을 맡았던 2012년 2월에 만든 것으로, 개정안은 조기 대선에 대비해 당 대선후보 선출 과정을 간략히 하는 한편 박 대통령의 대선 슬로건이었던 ‘국민행복’ 문구 등을 삭제했다. 이런 움직임은 ‘탈(脫)박근혜’ 전략과 대선체제 전환이란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새누리당은 최근 보수층 집결을 위한 우클릭 공세도 강화하고 있다. 9일 대정부질문에선 야당이 추진하는 개혁입법에 반대 움직임을 보이는 등 보수 노선을 확실히 했다. 정태옥 의원은 “투자 활동을 위축시키는 상법 도입은 신중해야 한다”며 다중대표소송 도입 등을 담은 상법개정안에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런 거침없는 행보 뒤에는 황교안 권한대행 총리 지지율 상승과 이른바 ‘태극기 민심’이 자리 잡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 황 대행의 지지율은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에 이어 2위를 달리고 있다. 당 지도부는 이를 숨어 있는 박 대통령 지지층의 쏠림으로 해석하고, 이들이 공개적으로 새누리당을 지지할 명분을 주기 위해 당명을 교체하면서 대선 준비에도 돌입한 셈이다.
과거 보수당은 정권 교체나 위기 타개 등 큰 변곡점이 있을 때 당명을 바꿔왔다. 특히 문민정부 이후에는 당명에 정치색을 배제하면서 정치적 외연을 넓히는 데 힘썼다. 2012년 당시 한나라당이 19대 총선을 앞두고 박근혜 당시 비대위원장 주도로 새누리당으로 간판을 교체한 것이 대표적이다. 이는 19대 총선에서 과반 의석 확보하면서 성공한 개명으로 평가받았다.
그런가 하면 한나라당의 전신인 신한국당은 1997년 15대 대선을 한 달 앞두고 당명을 바꿨지만 패배했다. 당 내분과 이회창 당시 대선 후보의 아들 병역 비리 의혹 등 때문이었다.
결국 이번 개명을 통한 ‘당명 정치’는 당의 외면이 아닌 내면을 얼마나 쇄신하느냐에 달렸다. 새누리당의 개명이 운명을 바꿀지 결과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