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9혁명의 도화선이 된 '4‧18 선언'이 있었던 안암동 현장부터 호주제와 동성동본 혼인금지제도 폐지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한국가정법률상담소', 6‧25전쟁 당시 교량폭파로 수많은 인명이 희생당한 '한강 인도교 폭파 현장'까지.
서울시는 서울의 근현대 흐름 속에서 벌어졌던 인권탄압과 이에 맞서 저항했던 인권수호의 생생한 역사를 품고 있는 38곳에 '서울시 인권현장 표지석'을 설치 완료했다고17일 밝혔다.
시는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난 1894년부터 2000년 사이 인권사의 역사적 현장을 시민과 전문가 등으로부터 추천받아 43곳을 선정했다. 이 가운데 위치고증 중인 5곳을 제외한 38곳에 표지석이 세워졌다.
표지석은 현장의 특성에 따라 시민저항 23곳(원형)과 국가폭력 8곳(삼각형), 제도 내 폭력 7곳(사각형) 등 3개 주제로 분류돼 설치됐다.
시민저항 장소로는 중구 명동성당과 6·10 항쟁선언 현장과 청계천 전태일 분신 현장 등은 물론 지난 1999년 휠체어 사고 이후 장애인들이 이동권 확보를 외쳤던 지하철 4호선 혜화역, 원진레이온 직업병 노동자들이 보상금으로 세운 중랑구 녹색병원 등이 선정됐다.
국가폭력 장소에는 박정희와 전두환 전 대통령 등 군부독재 당시 중앙정보부 터와 여성노동자 200여명이 폐업철회를 요구하는 과정에서 YH무역 김경숙씨가 숨진 마포구 신민당사 터 등이 포함됐다.
일제부터 독재시대까지 대법원이 있던 자리와 서대문형무소, 유신정권을 선출한 중구 장충동 체육관선거 현장 등은 제도 내 폭력이 일어난 장소로 지정됐다.
시는 표지석이 세워진 장소와 관련, 민주화와 노동, 사회연대, 남산 등 4개 주제로 7개 도보 탐방코스를 개발했다.
민주화길은 4·19혁명기념도서관이 포함된 4월길과 한국은행 앞 분수대와 명동성당 등 6월 항쟁과 관련된 6월길 등으로 구성됐다.
노동은 구로공단노동자 생활체험관 등이 포함된 구로길과 전태일길이 있으며, 사호연대는 수요집회가 열리는 일본대사관 등을 지나는 여성길과 인권운동사랑방이 들어간 시민길이 있다. 남산에선 제 1·2청사와 옛 안기부 제1별관 터 등을 둘러볼 수 있다.
전효관 서울혁신기획관은 "시민들이 그동안 잘 알지 못했던 서울 곳곳의 인권현장에 얽힌 사연과 역사를 알아갈 수 있을 것"이라며 "시민들이 인권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계기를 확대하고 생활 속에서 시민 인권이 존중받는 '인권도시 서울'을 만들어 나가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