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조선·해운업의 기업부채 구조조정 비용이 31조 원에 이를 것이라고 국제통화기금(IMF)이 밝혔다. 기업부채 구조조정 시 채권자 손실이 국내총생산의 최대 7.5%에 달하고, 고용은 최고 1% 가까이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추산에 따른 것이다.
이 같은 수치는 IMF가 최근 내놓은 ‘기업부채 구조조정의 혜택과 비용: 한국을 위한 추정’ 조사보고서에 따른 것이다. IMF는 2014년 기준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이 1 이하인 한국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부채 구조조정의 혜택과 비용을 추산한 결과 이같이 집계했다. 이자보상배율 1 이하는 기업이 영업활동으로 번 돈에서 이자를 내면 남는 돈이 없다는 의미다.
IMF는 이들 기업의 이익이 2014년 기준 전년보다 10% 떨어진다고 가정했을 때 조선업을 포함한 제조업과 해운업, 건설업 등에서 위험에 처하는 부채가 GDP의 12∼14%, 위험에 처하는 일자리는 1.9∼2.1%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여기에 대부분의 산업의 부도 시 손실률을 40%, 취약산업은 50%로 가정했을 때, 기업부채 구조조정 시 채권자 손실은 GDP의 5.5∼7.5%, 고용 영향은 0.4∼0.9%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조선업 구조조정에서 고용에 영향을 받는 인력의 규모는 1만 명으로 분석했다. 일부에서 2만 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특히 IMF는 기업부채 구조조정에 따른 일회성 비용을 향후 10년 동안 만회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는 역으로 구조조정의 여파가 10년간 지속된다는 것으로도 해석된다.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이 1 이하였던 기업이 1 이상으로 전환될 경우, 투자는 3.1%포인트, 연간 고용은 2.3%포인트 각각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는 게 보고서의 설명이다. IMF는 “핵심 결론은 기업부채 구조조정은 중기적으로는 성과가 난다는 것”이라며 “경제적 비용은 10년간에 걸쳐 만회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IMF는 보고서에서 한국의 산업 중 조선·해운업이 특히 영향을 받고 있고, 글로벌 경기 둔화가 심화한다면 철강과 화학업도 타격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그리고 자동차나 전자 등 기술집약적 산업은 글로벌 경쟁 격화에 직면해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