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자, 분사 계획 철회...이유는?

입력 2016-09-27 09:14 수정 2016-09-27 10:2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미국 제약사 화이자가 2년에 걸쳐 검토해온 분사 계획을 철회하기로 했다고 26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화이자는 특허로 보호되는 신약 부문과 특허 만료 의약품 부문을 분사할 계획이었으나 주주 가치 향상으로 이어지지 않을 것으로 보고 분사 계획을 철회했다. 분사 대신 신약과 인수·합병(M&A)에 중점을 두기로 결정한 것이란 평가다.

이안 리드 화이자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성명을 내고 “회사는 분사라는 선택지를 여전히 남겨둘 것이긴하나 전체 사업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최선의 사업 구조”라며 기존 계획을 철회한 이유를 설명했다. 리드 CEO는 지난 수년간 회사 사업 구조를 단순화하고자 분사를 고려해왔다. 특히 회사가 분사되면 기존 투자자들이 보유한 주식도 두 개로 쪼개지면서 자연스럽게 주주 환원이 가능해진다는 점도 회사 분사 전망을 부추겼다. 화이자는 그간 분사 채비에 총 6억 달러를 투입했다. 앞서 월가에서는 화이자가 지난해 1500억 달러(약 166조원) 규모의 앨러간과의 합병이 체결되면 이러한 분사 계획이 더욱 탄력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올해 초 버락 오바마 정부가 합병된 회사의 본사가 미국보다 낮은 유럽으로 옮긴다는 점을 들어 세금 회피 의혹을 제기하면서 합병을 사실상 백지화시켰다.

이런 상황에서 분사하려던 두 사업부의 상황이 극명하게 갈리면서 화이자가 분사에 회의적으로 바뀌었다는 관측이 나오기 시작했다. 수년간 부진을 면치 못하던 신약 사업부의 매출이 시장의 전망을 웃돌게 된 것. 전이성 유방암 치료제 입랜스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획기적 치료제’로 선정되는 등 일부 신약이 판매 성장을 견인했다. 반면 그간 꾸준한 매출을 올렸던 구약품의 경우 성장 전망이 불투명하다는 지적받기 시작했다. 이 때문에 분사 효과가 당초 예상했던 것과 다를 수 있다는 내부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블룸버그는 일련의 약품들의 특허가 만료되면 화이자가 M&A와 신약 개발에 더 집중할 것으로 내다봤다. 화이자는 지난 8월 미국 바이오제약사 메디베이션을 140억 달러에 인수한 바 있다.

이날 화이자 주가는 1.81% 하락한 33.64 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알림] 이투데이, '2024 CSR 영상공모전'... 27일까지 접수
  • 뉴진스 '최후통첩', 결국 파국으로…이제 남은 건 '계약해지'뿐? [이슈크래커]
  • '흑백요리사' 백수저X흑수저 식당 어디일까?…한눈에 보는 위치 총정리 [그래픽 스토리]
  • 2028 수능 통합사회·통합과학 예시 문항 26개 살펴보니…
  • 단독 알리익스프레스, K뷰티관 열었다
  • 단독 마뗑킴, 내달 홍콩에 ‘해외 1호 매장’ 연다
  • 끝없는 부동산 PF 여진…연체율 폭등 속 부실 위기 괜찮나 [레고랜드 악몽 소완할까①]
  • 금값 배춧값에…김장은커녕 포장김치도 못 구할 지경 [르포]
  • 오늘의 상승종목

  • 09.2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954,000
    • +1.33%
    • 이더리움
    • 3,492,000
    • +1.13%
    • 비트코인 캐시
    • 465,500
    • +0.39%
    • 리플
    • 782
    • -0.13%
    • 솔라나
    • 205,400
    • +2.65%
    • 에이다
    • 530
    • +3.72%
    • 이오스
    • 710
    • +0.28%
    • 트론
    • 203
    • +1%
    • 스텔라루멘
    • 130
    • +1.56%
    • 비트코인에스브이
    • 68,100
    • +0.89%
    • 체인링크
    • 16,650
    • +2.08%
    • 샌드박스
    • 378
    • +1.3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