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혼 직장인 여성 38.3%가 결혼 후 자녀를 낳지 않을 계획이고 20~30대 기혼 직장 여성의 절반이 부모님께 자녀 양육을 맡기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직장인 여성 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평균 자녀수(현재 자녀수+향후 출산 계획 자녀 수)가 1.5명인 것으로 조사됐다고 11일 밝혔다. 기혼자의 평균 자녀 수는 1.8명이며, 미혼자 경우 향후 출산 계획이 있는 자녀 수는 평균 1.1명으로 출산할 계획이 없다는 응답도 38.3%에 달했다.
직장여성들은 주로 부모님으로부터 자녀 양육에 도움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녀가 어린 20∼30대의 경우는 응답자의 절반 정도(20대 50.0%, 30대 48.6%)가 부모님의 도움을 받고 있으며, 부모님 다음으로는 20대의 50.0%, 30대의 29.7%가 어린이집 등 보육 시설의 도움을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가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저출산 정책으로 일ㆍ가정 양립 문화 확산(51.4%), 양육ㆍ주거비 등의 비용 지원(41.6%), 가치관ㆍ인식 개선(7.0%) 순으로 응답했다. 저출산 정책이 실제 자녀 계획을 세우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 비율은 27.2%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32.8%)는 의견보다 낮게 나타났다.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응답한 이유로는 지원수준이 비현실적(68.9%). 정책의 가짓수는 많은데 나에게 도움 되는 것은 별로 없음(50.6%), 시설이 부족해 필요시 제때 이용이 어려움(40.2%), 정책이 대체로 영유아 보육 쪽에만 초점(34.8%), 홍보부족(25.0%) 등의 순이었다.
일ㆍ가정양립문화 확산에 해당하는 정책 중에서는 육아휴직제도 확대ㆍ개선(59.2%) 사업이 출산율 제고에 가장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00인 이상 기업에 속한 여성 근로자의 경우 12.9%가 육아휴직을 사용하지 않은 반면, 300인 미만 기업에 속한 경우 40.9%가 육아휴직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응답해 기업규모가 작을수록 육아휴직을 사용하지 않은 비율이 더 높았다.
양육 주거비 등의 비용지원에 해당하는 정책 중 출산율 제고에 도움이 되는 사업으로는 양육비 지원(60.6%), 임신ㆍ출산 지원(47.6%), 주거비 부담 경감(44.6%), 보육인프라 확대(43.4%) 등의 순이었다. 이 중 임산ㆍ출산 지원 정책과 관련해 임신ㆍ출산 진료비 지원(37.2%)과 산모ㆍ신생아 도우미 서비스(24.2%)가 확대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직장여성들은 정부의 저출산 정책에 5.4%만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20대에서 만족 비율이 2.9%, 30대 2.0%, 40대 6.4%, 50대 이상 20.0%로 나타났다. 300인 이상 기업에 속한 여성 근로자의 만족 응답(7.7%)이 300인 미만 기업에 속한 여성 근로자의 만족 응답(4.6%)에 비해 높게 나왔다.
또 7월 1일부터 정부가 시행하고 있는 ‘맞춤형 보육제도’에 대해서는 직장여성들의 자녀 보육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응답(36.8%)이 그렇지 않다(21.8%)는 의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저출산 극복을 위해 향후 정부가 주력해야 할 정책으로는 응답자의 절반(47.8%)가량이 ‘일자리 문제 해결’이라고 답했으며, 기업이 노력해야 할 사항에 대해서는 육아휴직 등을 자유롭게 쓸 수 있도록 조직 문화를 개선해야 한다(42.2%)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송원근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기업들은 출산ㆍ육아와 관련해 일ㆍ가정 양립 문화가 확립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정부는 저출산 정책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제도를 개선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