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경제 전문 매체인 ‘경제참고보(經濟參考報)’의 보도에 따르면 2014년 상반기 중국의 대한국 투자 규모는 약 7억800만 달러(약 8128억 원)로 전년도 같은 기간보다 7배가 늘었다. 특히 엔터테인먼트산업 투자는 전년도 같은 기간보다 20배나 늘어났다.
중국 자본이 한류 콘텐츠를 사들이는 이유는 해마다 20% 넘게 고성장하고 있는 중국 문화산업 시장에 있다. 증권업계에 따르면 중국 박스오피스 시장은 2018년 13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해 미국 할리우드를 제치고 세계 최대 시장이 될 것이란 전망이다. 영화뿐만 아니라 게임, 레저, 매니지먼트, 음반, 광고 등 엔터 업계가 비슷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기자와 만난 한 상장사 고위 관계자는 “중국 시장이 열린 지 불과 2~3년밖에 안 되었지만, 거대 자본의 유혹에 안 넘어갈 사람이 어디 있겠습니까?”라며 관련 시장에 진출하고자 고민을 거듭하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업계에서 중국 자본은 이미 대체 불가한 존재다. 그렇다고 무작정 돈을 위한 사업을 하자니 아티스트의 성장성과 콘텐츠의 지속성이 저하되는 부작용에 직면한다.
전문가들은 ‘중국인의 중국 시장을 위한 콘텐츠’의 무분별한 생산을 경계하고 있다. 우리 문화의 정체성이 배제된 수출은 단기적으로 수익을 증대시킬 수 있어도 장기적으로 볼 때 문화산업의 근간을 흔들 수 있다는 설명이다.
디즈니 등 미국의 스토리텔링이 전 세계를 장악한 것처럼 장르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쿵푸팬더’를 만들 수 있는 중국이 언제까지 한류의 기획력과 아티스트에 군침을 흘릴지 알 수 없는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