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바이오제약 성공 위해 글로벌 기업 유치 필요”

입력 2016-06-03 09:1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주요국 바이오제약 인프라·제도 비교표(자료제공=전국경제인연합회)
▲주요국 바이오제약 인프라·제도 비교표(자료제공=전국경제인연합회)

바이오제약산업 전문가들이 우리나라가 생산에 경쟁력이 있다고 해도 앞으로 세계적 제약 기업들을 유치하지 못한다면 고부가가치 R&D, 해외 마케팅으로 이어지는 성공은 어렵다고 주장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3일 바이오제약 강국으로 떠오른 아일랜드, 싱가포르가 세계적 제약사를 성공적으로 유치한 전략을 소개하며 정부의 정책 지원 방안에 대한 건의서를 기획재정부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한국은 최근 셀트리온 등 바이오시밀러 분야의 성공과 생산능력 세계 1위(2018년 예정, 51만ℓ) 능력을 기반으로 경쟁력을 갖춰가고 있다. 싱가포르 수준으로 글로벌 제약사 및 R&D센터를 유치하면 2030년에는 지금보다 3배가량 규모가 커질 전망이다.

아일랜드와 싱가포르는 바이오산업 기반이 없었음에도 클러스터 조성, 파격적인 세제 인센티브 제공 등 국가 차원 종합 정책을 추진, 글로벌 제약사를 유치해 바이오 제약을 키운 대표적 사례라고 전경련은 밝혔다.

아일랜드는 화이자, 로슈 등에 맞춤형 인력을 공급하고자 740억원을 들여 바이오 전문 인력 양성기관(NIBRT)을 설립했다. 그 결과 아일랜드는 화이자, 노바티스, 로슈 등 대다수의 글로벌 기업들의 해외 거점으로 부상했다. 최근 5년간 약 4조원의 신규 투자를 유치했다.

싱가포르도 글로벌 제약사 투자 유치를 목표로 삼고 15년간 270억 달러(약 32조490억원)의 정책 자금을 투입해 대규모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글로벌 제약사를 첨단기술 선도기업으로 지정해 15년간 면세 또는 5~15%로 감면 등 파격적인 세제 정책을 추진했다.

그 결과 노바티스, 로슈, GSK 등 글로벌 10대 제약사 중 7개사가 싱가포르에서 생산설비를 가동 중이며 30개 본사, 50개 R&D센터, 50개의 제조 설비 등 대규모 진출이 이뤄졌다.

반면 한국은 글로벌 제약사를 유치할 인센티브가 미흡하다고 전경련은 밝혔다. 기업이 입주할 수 있는 바이오클러스터도 없으며, 글로벌 제약사가 가장 중요시하는 법인세도 22% 수준으로 경쟁국인 아일랜드(12.5%), 싱가포르(5~15%)보다 크게 높다는 것. 또 아직 제대로 된 생산인력 교육시설도 없어 오히려 아일랜드, 싱가포르로 해외연수를 떠나고 있다.

전경련은 R&D, 제조·생산, 영업·지원 등 특화된 바이오클러스터를 만들고 대학, 연구소, 병원 등 유관 시설을 갖춰 기초연구, 인력양성 인프라를 구축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또 바이오제약과 같이 선도 기술 및 파급효과가 큰 산업에 진출하는 외국기업을 대상으로 조세특례 조항을 적용해 15년 면세 또는 5~15%로 감면하는 방안도 함께 제시했다.

고유상 삼성경제연구소 박사는 “글로벌 기업의 생산 공장과 R&D센터를 각각 1개씩 유치할 경우 최대 2조1000억원의 생산유발 효과, 1만3000개의 직간접 일자리를 만들 수 있다”고 분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긁어 부스럼 만든 발언?…‘티아라 왕따설’ 다시 뜨거워진 이유 [해시태그]
  • 잠자던 내 카드 포인트, ‘어카운트인포’로 쉽게 조회하고 현금화까지 [경제한줌]
  • 단독 "한 번 뗄 때마다 수 백만원 수령 가능" 가짜 용종 보험사기 기승
  • 8만 달러 터치한 비트코인, 연내 '10만 달러'도 넘보나 [Bit코인]
  • 말라가는 국내 증시…개인ㆍ외인 자금 이탈에 속수무책
  • 환자복도 없던 우즈베크에 ‘한국식 병원’ 우뚝…“사람 살리는 병원” [르포]
  • 트럼프 시대 기대감 걷어내니...高환율·관세에 기업들 ‘벌벌’
  • 소문 무성하던 장현식, 4년 52억 원에 LG로…최원태는 '낙동강 오리알' 신세?
  • 오늘의 상승종목

  • 11.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1,094,000
    • +11.02%
    • 이더리움
    • 4,631,000
    • +8%
    • 비트코인 캐시
    • 627,000
    • +7.18%
    • 리플
    • 856
    • +8.35%
    • 솔라나
    • 304,500
    • +9.81%
    • 에이다
    • 848
    • +11.58%
    • 이오스
    • 786
    • +1.95%
    • 트론
    • 233
    • +3.1%
    • 스텔라루멘
    • 158
    • +8.22%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000
    • +8.04%
    • 체인링크
    • 20,400
    • +6.97%
    • 샌드박스
    • 416
    • +8.3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