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 칼럼] 역사를 알아야 미래가 보인다

입력 2016-04-05 10:3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김재수 농수산식품유통공사 사장

인류 최초의 혁명은 농업혁명이다. 수렵이나 목축을 하며 이동해 다니던 인류가 농사를 지음으로써 정착하기 시작했고 문명이 발생했다. 농업이 발달하면서 농업에 필요한 도구와 토기 등이 만들어졌고, 농업생산량이 증가하면서 인구가 획기적으로 늘어났다. 인류의 역사란 곧 ‘농업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농경사회에서 농업은 한 나라의 역사이자 기초산업이었다. 농업이 중심을 잃고 식량이 부족해지면 주권국가 역할도 행사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공자는 정치의 기본을 ‘식량을 풍족히 하는 것(足食)’이라고 하였고, 중국의 덩샤오핑(鄧小平)은 집단농장이든 개인농장이든 식량 증산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미국, 영국, 프랑스 등 선진국들의 공통점은 ‘농업강국’이며 지도자들도 농업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경제학자 사이먼 쿠즈네츠는 “후진국이 공업화로 중진국은 될 수 있지만 농업 발전 없이 선진국에 진입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우리나라도 농업은 사람이 살아가는 근본이라는 뜻으로 ‘농자천하지대본(農者天下之大本)’을 강조했다.

필자는 2000년대 중반 미국 워싱턴D.C 주재 한국대사관에서 농무관으로 근무하면서 미국 의회나 행정부가 농업 부문에 기울이는 각별한 관심을 인식했다. 대통령 후보자의 농업 분야 공약이나 농민단체의 지지 여부가 당선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곡물이나 축산단체의 영향력이 매우 커 정부가 농축산업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인다. 주의 크기에 관계없이 주마다 2명씩 상원의원을 뽑게 한 것도 지역 농업 보호를 위한 것이라고 한다.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은 취임 이듬해인 1862년 농무부를 창설하고 ‘국민의 부처(People’s Department)’라고 불렀다. 전 국민을 위한 부처로서 역할을 다하라는 뜻이다.

최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는 서울 양재동 aT센터에 ‘50년사 연대기표’를 설치했다. 공사의 역사, 나아가 우리 농업정책의 역사를 제대로 알자는 의미에서다. 공사는 농업인 소득증대와 농공 간 격차완화를 위해 1967년 농어촌개발공사로 발족했다. 당시에는 사장이 아니라 ‘총재’라는 직함이 주어졌다. 우리나라에서 농업이 차지하는 위상과 중요성이 어느 정도였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1986년 농수산물유통공사로, 2012년에 현재의 명칭으로 바뀐 사명만 봐도 개발에서 유통, 최근에는 식품산업, 수출증진 등으로 농업정책의 주요 과제가 변해왔음을 알 수 있다. 지난 50년 동안 과학기술이 발달하고 농산물 보호장벽이 사라지면서 농업은 물론 우리 사회 전반이 크게 변화했다. 농업과 농촌의 위상이 과거에 비해 크게 떨어진 것도 현실이다. 그렇다고 농업의 역할과 중요성이 사라진 것은 아니다.

최근 농업은 1·2·3차 산업이 융복합된 6차산업으로 변모하고 있고 선진국들도 농업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꼽는다. 과거 사양산업으로 간주되던 양잠산업이 인공 고막이나 인공뼈 개발까지 하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변모하고 있다. 벌침을 이용한 화장품, 유해가스가 나오지 않는 옥수수 바이오에너지 등 과거 먹을거리 중심의 농업시대에서는 별 가치가 없던 농업자원이 기술혁신을 통해 첨단산물로 빛을 발휘하는 것이다. 역사적으로 우리 농업 분야에는 새로운 아이디어와 기술개발의 성과물이 많다. 그중에서도 백미는 통일벼 개발이다. 1개의 자포니카 품종과 2개의 인디카 품종을 교배시킨 3원 교배는 과거 시도되지 않던 창조적 육종방법이었다. 통일벼 개발로 쌀 생산이 획기적으로 증대되면서 우리나라는 오랜 보릿고개에서 해방됐다. 식량자급은 1970년대 경제개발에 집중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다. 해외에서도 우리의 농업기술을 배우고자 하나, 정작 우리는 농업을 힘들고 부가가치가 낮은 산업으로 간주한다. 우리 농업의 과거를 잘 모르니 미래 가능성도 제대로 알지 못한다.

역사의 중요성은 국사, 세계사 분야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다. 농업 분야에도 중요하다. 기후변화, 식량위기, 개방화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서도 농업의 어제와 오늘을 제대로 알아야 한다. 허기를 채우는 과거의 ‘먹는 농업’에서 벗어나 미래 후손들의 먹거리인 ‘신소재농업, 기능성농업, 치료농업, 관광농업, 생태농업’으로 인식해야 한다. 우리 농업 역사에 관심을 갖자. 새로운 미래 농업 시대를 열어가야 할 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20년 째 공회전' 허울 뿐인 아시아 금융허브의 꿈 [외국 금융사 脫코리아]
  • 단독 "한 번 뗄 때마다 수 백만원 수령 가능" 가짜 용종 보험사기 기승
  • 8만 달러 터치한 비트코인, 연내 '10만 달러'도 넘보나 [Bit코인]
  • '11월 11일 빼빼로데이', 빼빼로 과자 선물 유래는?
  • 환자복도 없던 우즈베크에 ‘한국식 병원’ 우뚝…“사람 살리는 병원” [르포]
  • 100일 넘긴 배달앱 수수료 합의, 오늘이 최대 분수령
  • '누누티비'ㆍ'티비위키'ㆍ'오케이툰' 운영자 검거 성공
  • 수능 D-3 문답지 배부 시작...전국 85개 시험지구로
  • 오늘의 상승종목

  • 11.11 14:4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2,315,000
    • +1.96%
    • 이더리움
    • 4,351,000
    • -2.18%
    • 비트코인 캐시
    • 597,000
    • -0.42%
    • 리플
    • 799
    • -2.2%
    • 솔라나
    • 284,800
    • -0.97%
    • 에이다
    • 795
    • -1.12%
    • 이오스
    • 778
    • +5.42%
    • 트론
    • 229
    • +0.88%
    • 스텔라루멘
    • 151
    • +1.34%
    • 비트코인에스브이
    • 81,650
    • +0.49%
    • 체인링크
    • 19,300
    • -3.84%
    • 샌드박스
    • 402
    • +2.5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