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을 요구한 포스코 전 임원의 발언이다. 주로 해외자원개발 사업 파트에 몸 담았던 그는 수천억원대 적자를 보이고 있는 인도네시아 현지 제철소 크라카타우포스코 부실 만큼이나 브라질 CSP(Companhia Siderurgica do Pecem) 제철소도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고 경고했다.
포스코와 동국제강, 발레(VALE) 합작사인 CSP는 연 300만톤을 생산할 수 있는 규모로, 인프라 조성 비용까지 합쳐 투자 규모가 약 7조원에 이른다. 포스코와 동국제강이 지분 투자, 건설(포스코건설), 운영(포스코), 제품구매(포스코·동국제강)까지 실질적으로 포스코그룹이 사업 전과정을 주도하는 투자개발형으로 추진한 사업이다.
문제는 후판 반제품인 슬래브를 생산하는 CSP 프로젝트 완공 시점이 차일피일 연기되면서 사업성의 신뢰도가 추락하고 있다는 점이다. 포스코와 동국제강 측은 CSP의 가동 시점을 당초 계획보다 6개월 가량 늦춘 올해 2분기로 연기했다. 공급 과잉으로 철강재 값이 바닥인 현 시점에서 본격적인 가동으로 인한 추가손실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브라질 CSP에서 최대 1조 적자 = 현재 알려진 포스코가 브라질 CSP에 투자한 금액은 지난해 700억원을 포함해 약 5000억원 수준이다. 여기에 포스코건설이 CSP로부터 발주 받은 총 건설비용은 2조7000억원 규모로 지난해 말 기준으로 5000억원의 매출채권이 묶여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 완공시기가 잇따라 연기되면서 추가적으로 남은 수주금액 약 3000억원의 회수 시기도 동시에 미뤄졌다. 일각에서는 공사기간이 늘어난 만큼 운영비용·은행 이자비용·환차손 등 예상치 못한 금융비용 손실규모가 수천억원에 이를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실제로 CSP에서는 헤알(BRL) 가치 폭락으로 지난해 3분기까지 약 7700억원의 대규모 누적 손실을 기록했다. 부채 규모 역시 수출입은행, 브라질 국영경제사회개발은행(BNDES) 등으로부터 조달한 달러 차입금 증가로 전년 1조4670원에서 약 3조3000억원으로 급증했다. 부채비율은 전년 대비 7배 증가한 651%로 나타났다.
이 관계자는 “CSP 프로젝트가 끝나 봐야 정확한 투자금과 손실규모를 집계할 수 있겠지만, 그동안 포스코에서 지급된 투자금와 포스코건설이 부담하고 있는 건설비 등을 고려할 때 약 1조원의 손실로 집계되고 있다”면서 “더 큰 문제는 마진이 적은 후판에 들어가는 슬래브를 생산하는 공정이라 지금의 시장상황에서는 본격적으로 가동하더라도 추가적인 적자는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통상적으로 일관제철소는 완공하고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가더라고 최소 3년까지 적자를 봐야하는 구조”라면서 “브라질 CSP의 경우 공사지연으로 인한 손질까지 더해져 사업성이 떨어지면서 프로젝트의 메리트가 매우 낮은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獨 티센크룹도 브라질서 낭패… CSP사업 강행 속내는? = 당초 CSP 제철소 건설은 동국제강과 철광석 회사인 브라질 발레사가 2005년 5월 공동 출자하면서 출발을 알렸다. 그러나 여러 차례 부침을 거듭한 후 2010년 포스코가 20%의 지분 투자를 결정하면서 사업이 급물살을 타게 된다.
당시 포스코 내부에서는 중간재로 마진이 적은 슬래브를 생산하는 해외 일관제철소 건설에 부정적인 시각이 지배적이었다. 당시 독일 최대 철강회사인 티센크룹도 브라질에서 대규모 제철소 건설에 나섰다가 모기업까지 흔들리는 유동성 위기를 겪은 사례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사회에서는 CSP에서 문제가 발생하더라고 투자금 회수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했다. 당시에는 철강재 가격이 높아 마진이 적더라도 브라질에서 반제품을 생산해 국내로 들여온 후 이것을 재가공해 판매하면 어느정도 수익이 보장될 수 있는 구조였기 때문이다. 권오준 회장 역시 지난해 기업설명회에서 “브라질 CSP는 브라질 정부가 소유권을 가지고 있어 망하는 단계까지는 가지 않을 것”이라고 밝히 바 있다. 그러나 철강재 가격이 바닥을 보이면서 국내로 들여오기까지 대규모 물류비를 감당할 수 있는 구조가 깨지면서 투자금 회수에 의문이 발생하게 됐다.
이에 포스코의 CSP 사업은 해외사업 투자를 중요시하던 당시 정권의 코드에 맞춘 사업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또 지난해 포스코건설의 베트남 비자금 의혹이 드러나게 된 것도 CSP사업이 단초를 제공했던 것처럼 갖가지 부실 의혹이 동시에 수반된 프로젝트로 주목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