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의 영남권 신공항 입지 선정을 앞두고 부산시, 경남ㆍ경북도, 대구ㆍ울산시의 신경전이 가열되고 있다. 영남권 신공항은 오는 2023년 활주로 용량이 포화 되는 김해공항에 대비하기 위해 지난 2003년 부터 논의됐다.
그러나 경제성 미흡으로 2011년에 무산됐다가 항공 수요가 늘어나면서 지난해 8월 논의가 재개돼 오는 6월 국토부의 입지 선정을 앞두고 있다. 이에 따라 영남권 5개 시ㆍ도 중 가덕도를 지지하는 부산과 밀양을 지지하는 나머지 4곳의 신경전이 가열되고 있다.
경남은 나노융합 국가산단 확대 효과를, 대구와 경북, 울산은 주변 산업단지와의 접근성 등을 들어 밀양을 지지하는 상황이다.
반면 부산은 가덕도 신공항의 경우 24시간 운영이 가능하고 향후 신설될 신항만도 같이 입지시켜 물류산업의 시너지 효과를 볼 수 있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이에 대해 해수부 관계자는 “부산시가 신공항과 신항만 입지를 가덕도에 같이 두자는 논의를 하고 있다”면서“다만 신항만 입지 용역은 5월이라 신공항 입지가 변수가 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양측의 주장이 팽팽히 맞서면서 오가는 설전의 수위도 높아지고 있다.
서병수 부산시장은 지난 4일 언론을 통해 “국제관문공항을 부산에 건설하는 것이 영남권 상생의 길”이라며 포문을 열었다. 이에 홍준표 경남지사는 9일 도의회에서 “영남권 5개 시ㆍ도 중 부산만 가덕도를 주장하고 있으니 절대적으로 밀양이 유리하다”고 맞받아쳤다.
그러자 같은 날 부산시민단체는 성명을 통해 “국토부의 2011년 평가결과 밀양은 김해공항 8배의 소음, 27개의 산봉우리 절개, 500만평의 농지훼손 등의 문제점을 야기한다”고 지적했다.
반면 대구는 밀양을 산봉우리 절개가 아닌 항공학적 기준으로 건설할 경우 사업비가 절반으로 줄어든다 며 이 같은 주장을 반박했다.
이에 대해 국토부는 입지 선정은 파리공항 공단엔지니어링(ADPi)에 맡길 것이며 다른 선택지의 가능성도 있는 만큼 결과를 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일각에선 제주공항 건설, 인천공항 추가 확장으로 최대 14조원의 재원이 투입되야 하는 상황에서 영남권 신공항 논의 자체가 무리수라는 지적도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