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성인의 몸속 환경유해물질 농도는 3년 전보다 납 등 4종은 높아졌고, 니코틴 대사물질 등 11종은 낮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은 2012년부터 2014년까지 3년간의 '제2기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결과를 4일 발표했다.
이 조사는 전국에서 표본추출한 400개 지역(읍ㆍ면ㆍ동)의 만19세 이상 성인 650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혈액과 소변에서 21종의 환경유해물질 농도를 분석했다.
조사 결과, 혈중 납은 1.94㎍/㎗로 1기(1.77)보다 9.6% 늘었다. 그러나 과도하거나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고 과학원은 설명했다.
혈중 납과 관련해 통용되는 국제기준은 없고 미국의 경우 어린이를 대상으로 5㎍/㎗를 넘으면 '관심' 대상으로 관리한다.
혈중 수은은 3.11㎍/ℓ로 1기(3.08)와 비슷했고, 저감 노력이 필요한 대상(독일 건강영향 권고값 초과자)은 121명에서 88명으로 감소했다. 이번 수치는 미국과 캐나다보다 높지만 우리나라와 식습관이 비슷한 일본과 홍콩보다는 낮았다.
소변 중 수은과 카드뮴은 각각 0.38㎍/ℓ로 1기(수은 0.53, 카드뮴 0.58)에 비해 28.3%, 34.5% 감소했다.
내분비계 장애 추정물질로 알려진 비스페놀A의 소변 중 농도는 1.09㎍/ℓ로 1기(0.75)보다 약 1.5배 늘었다. 컵라면, 캔음식 등 가공식품 섭취빈도가 높을수록 농도가 증가했다. 이 성분은 플라스틱 제품 원료, 캔 코팅재료 등으로 쓰인다.
그러나 미국(1.48), 캐나다(1.1)보다 낮고 독일 건강영향 권고값(200)보다는 매우 낮아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는 설명이다.
내분비계 장애 추정물질로 바닥재 등에 쓰이는 프탈레이트 대사체 5종의 농도는 모두 1기보다 줄었다.
흡연에 의해 나타나는 소변 중 코티닌(니코틴이 체내에서 전환돼 생성된 물질) 농도(5.5㎍/ℓ)는 1기(11.3)의 절반 수준으로 낮아졌다. 이는 2012년 금연구역 지정ㆍ확대 등 정책 시행의 효과로 분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