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조선소와 기자재기업이 해양플랜트의 글로벌 표준화 추진에 나선다. 생산 원가를 낮추고 납기 지연을 방지하기 위한 전략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3일 부산 녹산공단에서 해양플랜트 사업 수익을 개선하기 위한 표준화 추진방안’을 논의하는 내용의 기업 간담회 및 기술정책 워크숍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현대ㆍ삼성ㆍ대우 등 조선업체와 은광산업 등 18개 기자재 기업에서 50여명이 참석했다.
우선 국표원은 우리나라 생산ㆍ상세 설계 분야의 표준 40여종을 개발해 국제표준으로 제정키로 했다. 이때 발주사ㆍ엔지니어링사ㆍ선급 등 이해당사자를 참여시켜 수주한 공사부터 적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국내 조선소는 이미 지난 10월 미국 휴스턴에서 쉐브론 등의 발주사, 테크닙 등 엔지니어링사, DNV-GL 등 글로벌 선급회사와 표준 개발에 상호 협력하기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한 바 있다.
이날 워크샵에서 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은 표준화를 통해 단위 사업별로 해양플랜트 제작 비용을 200억원 이상 줄일 수 있다고 발표했다.
구체적으로 △보온재, 밸브, 케이블 등 기자재 구매 비용 절감 △엔지니어링에서 건조까지 전체 공정기간 단축 △재작업 최소화 △납기 지연 예방을 통해 가능하다고 연구원은 설명했다.
또 표준화 과정에 발주처 등 이해당사자를 참여시켜 원가 비중이 높은 핸드레일 등 벌크성 자재에 대한 비용 절감 뿐만 아니라 국산화율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임헌진 국표원 기계소재표준과장은 “그간 해양플랜트 발주처와 단위 사업별로 기자재의 사양과 설계․생산관리 절차가 달라 제조 원가가 상승하고 공사가 지연되는 문제가 있었다”며 “글로벌 표준화를 통해 해양플랜트 사업의 수익성을 개선하는 계기가 마련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워크숍에서 국표원은 ‘조선ㆍ해양플랜트 표준화 종합계획’도 발표했다. 종합계획은 해양플랜트 산업의 수익 개선을 위한 표준화를 적극 지원하고 기술개발에 성공한 제품이 곧바로 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기술개발 사업과 표준화 연계를 확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여기에 극지환경 안전, 선박평형수 등 글로벌 기술규제가 신설되거나 강화되는 조선산업에 대해서는 우리 기술을 국제표준에 반영하기 위한 활동을 강화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