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의 문턱까지 갔던 대우조선이 지난 26일 노조의 동의서 제출 결정과 함께 한숨 돌리게 됐다. 하지만 대우조선에 대한 정부의 천문학적인 지원 규모의 적정성과 효과에 대한 의구심도 일부 존재한다.
현재 대우조선의 재무 상태는 심각한 수준이다. 대우조선은 올 2분기에만 3조원이 넘는 대규모 부실을 기록했고, 최근 진행된 실사를 통해 1조원이 넘는 추가 손실까지 발견됐다.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이 한 실사 결과에 따르면 대우조선의 총 부실 규모는 5조3000억원에 이르고, 실질적인 영업이익은 2017년이 돼서야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다.
대우조선의 부족 자금 규모 또한 오는 11월 1조8000억원, 내년 5월 4조2000억원, 2018년 말 최대 4조6000억원까지 불어날 것으로 관측된다.
대우조선이 보유한 여신 규모도 천문학적인 수준이다. 대우조선이 지난 2분기 기준 대출과 선수금환급보증(RG) 등의 명목으로 금융권에서 조달한 규모는 총 23조2245억원에 달한다.
이중 최대 신용공여기관인 수은이 12조2119억원으로 절반 이상(52.6%)을 차지하고, 최대주주이자 주채권은행인 산은이 4조1066억원(17.7%)으로 뒤를 잇는다.
이에 따라 금융당국과 채권단이 마련한 4조3000억원 안팎 규모의 대우조선 경영 정상화 지원이 원활히 이뤄지면 당장의 유동성 위기는 피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문제는 대우조선이 경영 정상화를 이뤄내지 못할 경우다.
추가 자금이 지원되면 대우조선에 물린 빚의 규모는 30조원으로 훌쩍 뛰게 된다. 특히 이번에 산은과 수은이 막대한 규모의 금액을 지원, 대우조선과 동반부실화가 찾아올 수도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 한국의 조선업황 전망이 그리 밝지 않다는 것도 이런 추측에 무게를 싣고 있다. 중국의 부상으로 한국 조선업이 예전 호황기를 구가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부정적인 시각도 적잖다.
사실 이는 대우조선만의 문제가 아니다.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 대우조선 등 국내 빅3 조선사가 지난 2010년부터 해양플랜트를 대거 수주한 이후 올해 상반기까지 발생한 손실만 8조여원이다.
하지만, 다른 한편에선 대우조선이 이런 상황에서도 9월 말 기준으로 131척, 850만 CGT(표준화물선 환산톤수, 132척)의 세계 1위 수주 잔량을 보유한 선두 업체인 만큼 회생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