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의 체감실업자가 107만1000명, 체감실업률이 21.8%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는 정부가 발표한 청년층 공식실업자 수 39만5000명의 2.7배에 달하며, 공식실업률 9.2%보다 12.6%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새정치민주연합 정세균 의원은 2일 배포한 보도자료에서 1월 고용동향의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구했다고 밝혔다.
정 의원에 따르면 체감실업률이 공식실업률보다 높은 이유는 청년층의 ‘잠재경제활동인구’에 기인한다. 이는 비경제활동인구 중 사실상 실업상태에 놓인 사람을 의미하며, 이번 분석 결과 청년층의 잠재경활은 61만1000명으로 타 연령대에 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정 의원실은 노동시장의 이중구조화로 인해 청년층의 취업준비 기간이 길어 이 같은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격차로 인한 상승 기회 박탈로 비정규직 기피현상이 일어나고 이는 준비기간의 장기화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또 여성에 비해 남성 청년의 실업문제가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체감청년실업률은 24.0%로 여성의 체감청년실업률 19.6%보다 4.4%포인트 높은 수준이었다. 이는 남성이 처음부터 정규직과 대기업으로 대표되는 좋은 직장을 선호하는 경향이 높기 때문으로 추정됐다.
청년층(15세~29세)을 연령대별로 분석한 결과, 20대 초반의 체감실업률은 25.6%로 20대 후반(25세~29세)의 18.7%보다 6.9%포인트 높았다.
정 의원은 “미래세대인 청년층의 체감실업률이 20%가 넘는다는 것은 ‘국가비상상황’이다”면서 “정부는 모든 정책에 우선하여 청년실업 극복을 위한 근본적 정책대안을 내놓아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