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KB·하나·농협금융와 6개 은행의 사외이사 63명 중 43명이 오는 3월 정기주총을 끝으로 임기가 종료된다. 신한금융의 경우 10명의 사외이사 가운데 정진, 이만우 이사를 제외한 남궁훈, 고부인, 권태은, 김기영, 김석원, 이상경, 히라카와 하루키, 필립 아기니에 등 8명의 사외이사가 3월 25일 임기가 만료된다. 신한은행도 6명의 사외이사 중 이규민, 박경서, 박세진, 구본일, 히사마쯔 겐죠 등 5명의 사외이사가 3월 임기가 끝난다.
하나금융은 정광선, 박문규, 오찬석, 최경구 사외이사가, 하나은행은 김영기, 박종원, 이기배, 염재호 등 4명의 사외이사가 각각 3월 임기 만료된다. 외환은행의 경우 8명의 사외이사 중 한견표 이사를 제외한 5명의 사외이사가 3월 임기가 끝난다. 우리은행도 오상근, 최강식, 장민 사외이사의 임기가 이번 주총에서 임기가 만료된다.
특히 KB금융은 사외이사 전원 사퇴로 이번 주총에서 이사진을 새롭게 구성한다. 현재 KB금융 9명, 국민은행 6명의 사외이사를 뒀지만 사외이사 수를 대폭 축소할 예정이다. 사외이사 수를 줄이더라도 KB금융과 국민은행을 합쳐 최소 10여명의 사외이사를 새로 뽑아야 한다.
하는 일 없이 거액의 보수만 챙기고 책임은 회피하려 한다는 사외이사에 대한 금융당국의 곱지 않은 시선도 대규모 물갈이에 힘을 싣고 있다.
금융당국의 권고 내용에 따르면 앞으로 금융회사 사외이사는 금융·경영·회계 등 지식뿐 아니라 현장경험을 갖추도록 했다. 사실상 금융현장 전문지식이 부족한 교수를 배제하겠다는 의미다.
현재 4대 금융지주 사외이사의 절반은 교수나 연구원이고 정작 금융·회계 전문가는 15% 수준이다. 이에 금융권 사외이사 가운데 관피아(관료+마피아)나 정권 실세 출신이 수두룩해 관치금융과 부적절한 로비의 통로가 됐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그러나 금융당국의 권고에도 일부 사외이사의 경우 연임할 것이라는 예상도 있다. 지배구조 모범규준에는 매년 사외이사 총수의 5분의 1 내외에 해당하는 사외이사를 새로 선임하도록 하고 있어 적잖은 규모의 교체는 불가피하다.
특히 최고경영자(CEO) 못지 않게 막강한 권한을 행사하면서도 정작 책임은 지지 않는 사외이사 제도를 수술해야 한다는 여론이 확산되고 있어 이번 주총에서 대규모 교체는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한편 금융회사 입장에선 사외이사의 임기가 만료될 때 어떤 새 인물을 모색해야 할지 고민이 많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당국 방침에 따를 수밖에 없어 교수 출신 사외이사 수는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면서 “교수나 관료 출신을 제외하고 금융과 회계, 재무 분야에 해박한 지식을 가진 사외이사를 찾기 쉽지 않다”고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