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사업의 생태계 악영향 논란을 빚은 큰빗이끼벌레가 유해성과 독성이 없다는 정부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환경부는 지난 7월부터 국립환경과학원, 4대강물환경연구소, 유역지방환경청, 학계, 민간연구소 등 분야별 전문기관에 의뢰해 올여름 4대강 유역에서 출연한 큰빗이끼벌레가 수중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를 17일 발표했다.
연구는 큰빗이끼벌레가 많이 서식하는 금강 세종보 인근에 현장과 유사한 생태계(메조코즘)를 설치해 미성숙·성숙·사멸 등 성장단계별로 구분된 큰빗이끼벌레를 메조코즘에 넣고 어류에 미치는 영향을 일정시간 동안 관찰하는 식으로 진행됐다.
그 결과 현장 서식종인 납자루와 밀어, 송사리 모두 생존에 영향이 없었다. 현장뿐 아니라 실험실에서 같은 방식으로 실험한 결과도 같았고, 어류를 큰빗이끼벌레에 접촉시키는 실험에서도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환경부는 밝혔다.
하지만 이는 지난달에 나온 충청남도 민관공동조사단의 연구결과와 상반된다. 당시 공동조사단은 큰빗이끼벌레가 물속 용존산소를 바닥내고 죽어서는 암모니아성 질소를 증가시켜 수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었다.
이에 대해 연구에 참여한 안광국 충남대 교수는 "당시는 실험실에서 한 실험으로 현장이 반영되지 않은 것이고 우린 현장에서 실험을 했다"며 "모든 생물체는 분해과정에서 암모니아가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환경부는 해외에서도 큰빗이끼벌레의 독성·유해성 여부가 문제 된 적은 없으며 위해생물로 지정해 관리하는 사례 역시 전무하다고 밝혔다.
큰빗이끼벌레는 4대강 본류와 지류, 저수지 등 다양한 수역에서 서식하고 있으며, 4대강 유역 중 금강에서 가장 많이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금강 세종보·공주보 주변에는 큰빗이끼벌레가 부착하기 쉬운 수몰 고사목이 널리 분포하고 있고, 보 설치와 함께 큰빗이끼벌레가 발아하는 시기인 4∼5월에 평년보다 적었던 강수량으로 유속이 감소한 것이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큰빗이끼벌레는 강우에 매우 약해 하루 40∼50㎜ 이상 강우 시 70∼90%가 유실되며, 15℃ 이하 수온에서 1개월 정도에 걸쳐 서서히 죽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 결과는 올해 7∼11월 진행된 것이어서 특정지점에서의 큰빗이끼벌레 분포 양상과 봄·여름철의 발생과 성장조건 등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환경부는 밝혔다.